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명
실증
확인
검사
뉴스
"
검증
"(으)로 총 3,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테미스 2호' 탑재 한국 큐브위성 미국 이송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소자가 K-라드큐브에 함께 탑재돼 반도체 소자의 방사선 내성 특성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
할 계획이다. 강경인 우주청 우주과학탐사부문장은 “아르테미스 2호의 탑재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큐브위성 제작을 하면서 국제 경쟁력을 높였다"며 "NASA 등 국제협력을 통한 한국의 우주탐사 참여 기회를 ... ...
가속기 가동 중에도 이온 빔 변형 연구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한국원자력연구원의 'RFT-30 사이클로트론 가속기'에서 양성자 빔 실증 실험으로
검증
됐다. 파괴적으로 측정하는 기존 장치와 비교해도 정확하다는 게 확인됐으며 빔의 모양이 원래 균형 잡힌 모습에서 벗어나더라도 측정할 수 있음이 증명됐다. 곽동현 IBS 연구원은 “직선형 RAON 가속기뿐 아니라 ... ...
[재생의료 최전선]⑨ 세포 융합으로 병든 세포 되살려 난치병 '완치'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입증하고 있나. "안전성은 반복독성, 유전독성, 종양원성 등의 정규 독성시험을 통해
검증
하고 있다. 유효성은 세 가지 지표로 보고 있다. 첫째, 디스트로핀 발현 수준이며 둘째는 근육 손상이 줄어드는 정도다. 끝으로 세포융합 발생 비율을 살핀다. 실제 실험에서 줄기세포 단독 투여 대비 ... ...
고용량·고속충전 하이니켈 전지, 공정 혁신으로 수명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열처리 조건 변경을 넘어 양극 소재의 소결 거동 전반에 대한 원리적 접근과 실증적
검증
을 함께 수행했다는 데에 차별성이 있다"며 "다양한 산화물 기반 전극 소재의 소결 공정 최적화를 위한 기반 기술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02/adma.20250860 ... ...
화재 위험없는 전고체 전지 불안정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음극과 고체 전해질 사이의 계면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실용화 수준의 파우치셀을 제작·
검증
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6월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공개됐다. 리튬금속은 이론상 기존 전지 음극 소재인 흑연(C)보다 10배 이상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 ... ...
"의료인이 의료로봇 직접 써보고 피드백…한국 '다빈치'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환경으로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의료로봇 회사들은 센터를 통해 의료로봇을
검증
받고 성능 개선 기회를 얻는다. 교육에 참여하는 의료인들이 의료로봇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의료로봇 분야를 선도하는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의료로봇과 국산 의료기기를 비교해 ... ...
아폴로 이후 달 착륙 첫 인류는 중국인?…中 달착륙선 '란웨'
검증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고장이 날 경우 우주인의 생명을 구하는 최후의 수단인 우주선 비상 탈출 시스템을
검증
하는 게 목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반세기 만에 달 표면에 인류를 다시 보내는 아르테미스 3단계 계획을 추진 중이지만 현재로선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아르테미스 2·3단계 계획은 계속 미뤄져 왔다. ... ...
악명 높은 '교모세포종' 줄기세포 면역치료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플랫폼으로 주목된다. 안스데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임상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
검증
을 넘어 줄기세포 유전자치료와 진료현장에서 사용 중인 면역관문억제제의 기전적 상호보완성과 시너지 효과를 증명했다”며 “면역기억 T세포 유도에 기반한 장기 항암 면역 반응은 향후 재발 방지에 ... ...
"미시 현상이 플라즈마 구조 바꿔"…국내 연구진,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데이터 분석과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의 슈퍼컴퓨터(KAIROS)를 이용한 입자 시뮬레이션
검증
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미시 자기 난류를 발생시키면 '자기재연결(Magnetic Reconnection)'이 효과적으로 발생해 플라즈마에 거시적인 구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자기재연결은 자기장 ... ...
AI가 설계한 단백질, 차세대 유전자 교정 효율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를 이용한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MLH1-SB가 PMS2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밀어낼 수 있음을
검증
했다. MLH1-SB는 단 8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돼 기존 MMR 방해에 사용되던 단백질보다 훨씬 크기가 작다. 연구팀은 "MLH1-SB는 PMS2를 성공적으로 밀어내는 기능과 더불어 크기도 작아 유전자 전달 시스템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