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표"(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사기록 l20220503
- 기후변화지표종: 별무늬꼬마거미(확실하지않음)날씨/기온: 맑음/19도관찰지역: 서울시 중랑구 종별/성별/마리수/관찰환경: 모름/모름/1마리/도시세부관찰내용: 건물 천장. 모서리에 거미줄을 쳤어요.먹이활동은 아직 하지 않은것같아요.별무늬꼬마거미라고 검색되는데 천장에 있어서 자세히 관찰하지는 못했어요. ...
- 탐사기록 l20220429
- * 기후변화지표종: 모름* 날씨/기온: 보슬비/10도* 관찰지역: 서울시 동대문구 중랑천* 종별/성별/마리수/관찰환경: 모름/모름/1마리/도시* 세부관찰내용: 하천 (중랑천하천 수풀 난간)밤산책나갔다가중랑천에서 만난 거미예요.보슬비가 내리는데도 거미줄은 튼튼해보여요. ...
- 우리가 쉽게 아는 태양과 행성을 더 파해쳐 보자!!기사 l20220423
- 이런 유성이 한꺼번에 쏟아지면 유성우, 출처:https://blog.naver.com/etet1023/220448986744 유성체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모두 타지 않고 지표면에 떨어지면 운석이라고 부릅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goldhammers/9297 이처럼 운석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불립니다. ...
- 태양계 중 외계인이 있을 법한 곳 top5기사 l20220319
- 입니다. 안타깝게도 탐험 계획은 없습니다. 출처:디라이브러리 (엔켈라두스가 외계인이라는거 아님) 4.유로파 출처:나우뉴스 유로파 지표 아래 염분이 많은 바다가 이상적인 후보입니다. 심지어 이 바다가 빙산을 깨고 표면으로 녹아 내렸을 수도 있는 지역들이 보이기도 하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다른 점은 명확한 것이 없죠. 그러나 허블 우주망원경이 위성 ...
- 화산에 대한 모든 것!기사 l20220304
- 또한 둘은 액체 상태입니다. 반대로 차이점은, 마그마는 땅속에서 암석이 뜨거운 열 때문에 녹은 물질이고, 용암은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나온 액체 상태의 물질인데요, 마그마가 밖으로 나오고 기체가 다 송송 빠져나간 후의 물질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마그마는 화산 안에 있는 것, 용암은 화산 밖으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 내가 만든 스릴쓰릴 롤러코스터기사 l20220223
- 그래서 위치에너지를 쑥쑥 ~!! 높이기 위해 시작점을 점점 높여보았더니 끝까지 구슬이 굴러가네요. 대신 에너지가 커진 구슬이 지표면에 닿으면서 트랙 밖으로 튀어나가는 사고가 생겼어요. 그래서 그 부분은 터널처럼 덮개를 만들어줬답니다. 엄마한테 색종이 테이프 많이 쓴다고 구박받았지만 그래도 성공하니까 뿌듯해요. 과학의 원리: 위치에 ...
- 신기루는 왜 생겨나는 것일까?기사 l20220217
-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의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 만약에 지표가 뜨거운 사막이나 아스팔트일 경우, 빛이 위쪽의 찬 공기로부터 지표 근처의 뜨거운 공기를 지날 때 굴절해 마치 땅에 물이 고인 것처럼 보입니다. 이상 윤예진 기자였습니다. ... ...
- 암석은 무엇일까?기사 l20220216
- 번째는 바로 화성암! 화성암은 또 2가지로 나누는데, 알갱이의 크기가 크고 지하에서 만들어지는 암석은 심성암이라 하고 크기가 작고 지표 부근에서 만들어지는 암석은 화산암이라고 합니다. 심성암에 예에는, 대표적인 화강암 외에도 섬록암, 반려암등이 있고, 화산암에는 현무암, 유문암, 그리고 안산암이 있습니다! 출처:나무위키 (위 사진이 바로 화 ...
- 구름, 생기는 법과 없어지면 일어나는 재앙 들기사 l20220213
- 매시간 마다 엄청난 난기류를 만나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지금까지는 태양빛들이 오면 많은 부분들이 구름을 통해 반사되어서 지표면이 가열 되지 않게 도와주었는데요. 그러나 구름이 없어졌기에 더 뜨겁게 가열 되고 주변의 땅들도 뜨거워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땅들은 뜨거워 질수록 계속, 더 빨리,세게 상승 할것입니다. 그러니하늘은 마구마구 공기들 ...
- 파커 탐사선 그 미지의 세계행 기차가 출발합니다!기사 l20220207
- 있다고 하네요. 지금 파커는 코로나로 진입하는 중이고요. 그럼 다시 파커 탐사선으로 돌아가서 살펴봅시다. 현재 파커탐사선은 태양 지표면에서 약 600만km 떨어진 곳에 접근하였는데요. 지금까지 어떤 탐서선도 가지못한 미지의 세계를 처음 접근한 탐사선 이라고 해요. 여러분은 이런 생각을 할 겁니다. 600만 킬로미터 라면 먼거 아니냐. 하지만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