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외교"(으)로 총 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도 자소서^^포스팅 l20200103
- 이름:조현진나이:13싫어하는거:잘난척,드러운짓,수학좋아하는거:피구,펭수,어과동,게임장래희망:디즈니직원,외교관,NASA직원2020년 하고싶은거:해외가기! ...
- [UN 청소년 환경 총회 2019] 우리는 MUNer, 총회는 끝났어도 실천은 이제 시작. 나의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자!기사 l20191125
- 어린이 과학동아 공지사항을 통해 처음 ’UN 청소년 환경총회‘란 것을 알게 되고 저는 꼭 참석하고 싶었습니다. 환경문제와 외교활동 둘 다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UN 청소년 환경 총회‘에 참석해서 저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친구들 언니, 오빠들을 만나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그 해결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
- 독립기념관에서 만난 안중근 의사기사 l20191124
- 섰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그 전부터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좋은 일을 많이 하셨답니다. 1905년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뺏은 강제 조약인 을사늑약이 맺어진 뒤, 안중근은 의병으로 활동하기 위해 중국 산둥 상하이로 떠났습니다. 1906년에는 진남포, 즉 한국으로 다시와서 어린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삼흥학교와 돈의학교를 세웠습 ...
- 2018 UN청소년환경총회 참가기기사 l20181112
- 깨끗해야 하는가?" 등 3가지에 대하여 토론하였습니다. 대표단 활동과 결의안 채택과정 실제 UN에서도 본인의 국가를 대표하여 외교관들이 참가하므로 참가학생들 역시 UN청소년환경총회 시작 전 사전워크샵에서 각자 추첨을 하여 본인이 대표할 국가를 선정하고 대표발언을 작성하여 발표하게 되는데 저는 동유럽에서 물의 나라로 불리는 ‘벨라루스’였습니다 ...
- 3.1운동 99주년 기념 행사기사 l20180301
- 연극은 약 30분 정도였고 그 연극은 1919년 우리나라 국민들이 3.1운동을 일으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 연극에서는 일본이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는 것부터 시작하여 마지막에 일본군이 우리나라 독립운동가들에게 무릎을 꿇는 장면까지 이어졌습니다. 연극의 마지막은 연기자들과 모인 사람들이 함께 '독도는 우리 땅' 노래부르며 춤추는 것으로 장식되었 ...
- 반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기사 l20171120
- 반크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반크는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한국을 알고 싶어 하는 외국인들과 한인 동포·입양아들에게 이메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 자원 봉사자들의 모임입니다. 반 ... 같습니다. 우리나라를 세계의 알리고 같이 고민하는 것이 나라를 사랑하는 방법 같습니다. 이 ...
- 2017 UN청소년환경총회를 다녀와서...기사 l20171116
- 대표님의 개회선언을 들었고 거기서 전 환경부 장관, 기상청장,환경부 차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와 국립생태원장, 미국대사관 외교관, UN환경기구 국장 등 멋진 포스가 느껴지는 분들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 장이권교수님이 계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장이권교수님은 자문위원회 소속으로 총회에 참석했던 것이었습니다. 비록, 멀리 ...
- 독도는 일본땅?아님 우리땅?기사 l20171114
- 때문. 신라에 이사부 장군님이 사자 조각상으로 독도를 겁주어 승리했다. 그러나 일본은 1904년에 러시아와 전쟁에서 승리해 한국에 외교권 빼앗아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했습니다. ... ...
- 위인들과 그들이 한 명언을 알아보자!기사 l20171113
- 많을겁니다. 이 위인은 우리 한국의 유명한 패션디자이너십니다. 앙드레 김의 본명은 김봉남이지만 유명한 패션디자이너가 되자 외국 외교관의 추천한 앙드레 김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드레 김이 남긴 명언은 "내가 관심을 받아야 내 패션도 관심을 받을 수 있다"입니다. 2.스티브 잡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 휴대폰, 아이패드는 거의 스티 ...
- 태극기의 숨어 있는 뜻기사 l20170727
- 이 사건을 계기로 우리나라 조정에서 우리도 국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어요. 1882년 9월, 박영호란 사람이 수신사(외교 사절)로 일본에 건너갈 때 일본을 항해하던 메이지마루호에 고종이(조선 제 27대 왕)창안한 도안을 그려 사용했던 것이 태극기의 시작이에요. 1883년 1월 27일에 고종이 태극기를 공식적인 국기로 반포했어요. ...
이전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