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굴절"(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2)어린이과학동아 l20070511
- 나같은 능력을 지니려면 아직 멀었지. 실제로 투명인간이 있다면 그는 장님일 수밖에 없다. 우리가 보기 위해서는 빛이 수정체에서 굴절되어 망막에 상이 맺혀야 하는데 투명인간은 수정체와 망막조차도 투명하기 때문에 상이 맺히지 않는다. {BIMG_R10}악당들은 임금님과 공주님을 위협했습니다. 하지만 슈퍼맨과 배트맨, 헐크는 조금 전의 심리 분석에 ...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어린이과학동아 l20070412
- 밑면이 아래쪽을 향해 있으면 빛은 위의 그림에서처럼 들어와 꺾이게 됩니다. 이 때 윗면에서 한 번, 옆면에서 한 번 모두 두 번 굴절하게 되지요.” “이 때는 무지개와는 달리 보라가 더 많이 꺾이는군요!” “한 얼음결정의 옆면으로 빛이 꺾여 나오게 될 때 우리 눈에 빨강이 들어오게 되면 그 위에 있는 얼음결정에서는 주황, 노랑의 순서로 보이게 ...
- 3짱 프로젝트-건강한 눈,예쁜 눈어린이과학동아 l20060727
- 보이는 것도 근시와 반대로 가까운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지만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요. 난시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일정하지 않아 초점이 두 개 혹은 더 많이 생겨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증세를 말합니다. 난시는 근시나 원시와 함께 생기는 경우가 많아요. 나쁜 눈, 좋은 눈 만들기 눈이 나빠져 물체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교정을 ...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2)어린이과학동아 l20060727
-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눠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빛이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이상굴절을 일으켜 도깨비불처럼 보일 수 있다. 동양 귀신 대표 (2)처녀귀신 하나같이 다 칠칠치 못하긴. 얘기를 들어 보니 정말 한심하군. 진짜 무서운 귀신은 나처럼 억울한죽음을 당해 원한을 풀기 위해 이승을 떠도는 처녀귀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9
- 빛의 색깔마다 굴절하는 정도가 달라 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뉴턴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빛을 굴절시키지 않는 망원경을 연구하였다. 뉴턴은 빛의 반사를 이용한 망원경을 생각하고, 청동을 갈아 만든 2.5센티미터의 오목거울과 평면경을 사용한 길이 15센티미터의 반사망원경을 만들었다. {BIMG_r15}1774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1)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아니요~. 왼쪽 사진은 부화하기 전의 풀노린재 알을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달의 표면을 굴절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랍니다. 놀랍도록 비슷한 두 세계에는 공통점이 있어요. 모두 맨눈으로는 결코 볼 수 없는 세계라는 점이지요. 너무 작아서, 또는 너무 멀어서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 지금부터 현미경과 망원경 ...
- 맛있는 빛의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세상의 모든색이 만들어진다. 이번 단원에서는 빛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자. 빛을 좇는 뉴턴 17세기 뉴턴은 빛의 굴절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었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다양한 색으로 분해되고, 그 빛들을 합치면 다시 백색광-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의 빛이 균일하게 섞여 있는 빛-으로 돌아갔다. 백색광이 여러 가지 색으로 나누어지는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것이죠. 또한 빛은 렌즈의 두께가 두꺼운 쪽으로 굴절한답니다. 그래서 볼록 렌즈를 통과 할 때는 가장 렌즈가 두꺼운 중심으로 빛이 굴절해 빛이 모이게 되는 것이죠. 따뜻한 담요를 덮어 주었는데 잘 녹지 않았어. 왜일까? 겨울에도 담요를 덮으면 따뜻하잖아. 그래서 우리는 얼음에 담요를 덮어 주기로 했어. 30분간 담요를 덮은 77.6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3)어린이과학동아 l20051010
- 우연히 두 개의 렌즈를 일정 거리로 떨어뜨려 놓으면 먼 곳의 물체가 확대되어 보인다는 사실을 별견했지. 나는 여기서 영감을 얻어 굴절 망원경을 만들었고 금성, 목성, 토성, 달을 관측할 수 있었어.태양의 흑점과 목성의 위성을 발견한 것도 바로 나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지동설을 주장하게 된 것도 망원경을 통한 정확한 관측이 있었기에 ...
- 달이 너무 궁금해 (1)어린이과학동아 l20050912
- 달무리로 날씨를 예상할 수 있답니다. 달무리는 새털구름이나 털층구름처럼 얇고 넓게 펼쳐져 있는 구름 속의 얼음결정에 달빛이 굴절, 반사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예요. 이렇게 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올 확률이 60∼70%랍니다. 추석의 달, 환상의 달! 추석 달을 보면 뭔가 특별해 보이죠? 하지만 추석의 달이라고 특별하지는 않답니다. 보름달이 아닐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