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게재됐습니다. doi: 10.1038/s41467-023-40904-8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는 킴벌라이트라는 화산 활동으로 솟구쳐 오릅니다. 킴벌라이트는 중생대에서 신생대에 걸쳐 여러 시간대 분출했지만, 인류는 단 한 번도 직접 목격한 적 없는 화산이죠. 연구에 따르면 킴벌라이트는 엄청난 양의 유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관한 논쟁을 불러왔죠. 특히 유럽위원회 내 유럽사회 속 과학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MASIS) 전문가 그룹은 “계속되는 변화와 그 변화가 평가되는 방식을 고려해 과학이 앞으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좋은지, 혹은 적절한지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비판했습니다. doi: 10.2777/467 한국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리고 싶은 그림이 있는데, 마음처럼 잘 되지 않는다고?그럴 땐 이미지를 생성하는 AI를 활용해 봐! 순식간에 글을 이미지로 변환해 독특한 예술 작 ... 아무리 AI가 발달해도 생각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예술을 보며 감상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멈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랍니다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GIMPS 홈페이지에서 공개한다. 그러다 보니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지만, 즐길 수 있는 여가 활동으로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앞으로 또 어떤 거대 소수를 발견할까? 현재 가장 거대한 메르센 소수로 추정되는 소수는 6년 전인 2018년에 발견됐다. 누구나 할 수 있으니 거대 소수 목록에 이름을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름으로 뉴미디어 아트나 다학제 예술 분야에서 작품을 만드는 한국 유일의 METI 활동가입니다. 원 작가는 “SETI의 전파 연구 방식이 과학의 영역이라면, METI는 전혀 다른 생명체에 ‘대화’를 건다는 점에서 고고학자, 언어학자, 심리학자, 예술가 등이 모두 모인 다학제적 분야”라고 말했습니다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속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모습을 보며 화산활동에서 발견되는 번개를 떠올렸다. 화산활동이 벌어질 때 마그마는 작은 입자 여러 개로 쪼개진 다음 서로 마찰하며 마찰전기를 만든다. 입자에 대전된 전하량이 충분히 축적되면, 번개가 발생한다.비슷한 현상이 커피 그라인더 속에서도 일어난다.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특히 수학 전공은 찾기 어려웠죠. 컨설팅 회사의 인턴, 대학교 컨설팅 학회나 동아리 활동 경험은 당연하다고 여겨졌는데, 저는 그렇지도 않았고요. 전공도 경험도 특수한 상황이었기에, 회사 생활에 적응하기가 처음엔 꽤 어려웠습니다. 수학자와 전략 컨설턴트가 공유하는 도구 컨설팅 업계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장을 맡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는 “2023년 한 해 지사탐 활동을 통해 다양한 생물들이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극복해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했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특히 “일본 야쿠시마에서 봤던 일본원숭이가 비가 많이 오는 환경에서 어떻게 적응해 살아가는지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만들고 즐길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이에요. 메타버스는 현실처럼 사회와 문화적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합니다. 특히 로블록스에서는 유저들이 다양한 게임을 공유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이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지요. 저 우이니는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잘 수집된 임상검체와 환자 정보도 함께 필요합니다.” 하지만 한국은 임상 현장에서 활동하는 의사에 비해 기술 개발에 시간을 쏟는 의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의사과학자는 미드필더입니다.” 주 교수는 의사과학자가 필요한 이유를 축구에 비유해 설명했다. 축구 경기에서 승리하기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