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장"(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자, 과학동아, YTN 사이언스 등 다양한 채널로 과학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과학 현장에 직접 가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유튜브 과학 채널 ‘지식인 미나니’를 운영 중이다. 최근엔 과학 만화책 ‘요즘 과학’, GPT-3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책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2023년 트렌드’도 펴냈다. skddl0514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진행했습니다.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학생들은 언제 ‘실패했다’고 느꼈을지 함께 살펴보시죠. 같은 가지에 혼자 시든 잎카이스트라는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곧바로 소재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원천 공정 기술을 개발하면, 적층성형만으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품을 제작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안전성, 재현성 등 명확한 평가 기준 마련해야 기존에 없던 신기술로 획기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은 항상 큰 기대를 모으죠.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등 많은 분야에서 필요한 기초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핵심 교과입니다. 수능은 학교 현장의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바꿀 수 있을 만큼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시험이에요. 앞으로 수능이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을 고루 키워줄 방향으로 나아가 미래사회 인재를 키워낼 수 있길 바랍니다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렇지 않습니다, 교수님. 전쟁은 절대 악이 맞습니다.”“청년들을 살육의 현장으로 내모는 것은 분명 잘못됐습니다!”“맞습니다. 전쟁은 참혹하기 그지없으며, 이번 전쟁은 분명 지난번 전쟁보다도 훨씬 더 비참할 것입니다.”“그런데 왜 이런 주장을 하시는 건가요?”“그럼에도 불구하고 ... ...
- 동아사이언스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나의 채티에게’ 촬영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다음 장면에서 필요한 감정선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학생들이 프로답게 영화를 만드는 현장을 보며 소설이 아닌 영화 ‘나의 채티에게’는 어떻게 완성될지 기대가 커졌습니다.한예종 영화과 학생들과 멀티미디어 영상과 학생들은 ‘나의 채티에게’ 외에도 ‘사후세계를 결정하는 약’ ... ...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학습하면 빠르게 기법을 적용할 수 있어요. 이 장관이 말한 킬러문항의 의미인 ‘사교육 현장에서 문제 풀이를 반복 연습하면 유리한 문항’인 셈이지요. 물론 수학 교육적인 가치뿐 아니라 수능의 특수성을 모두 고려해서 좋은 문제를 내야 한다는 주장도 있어요. 서울 지역 고등학교 수학 교사 ... ...
- [일타수맨스] “수학 강의로 감동을 주고 싶어요” 손승연의 인기 비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과정을 옛날 이야기처럼 설명해요. 연기도 곁들여서요. 한번은 제 문제 해설을 듣고 현장에서 학생이 감동을 받았다며 운 적이 있어요. Q. 감동을 주려고 한다고요? 성적을 올려주는 방법을 가장 많이 고민하실 줄 알았어요. 수학이 재밌다는 생각이 들면, 수학 성적은 따라서 올라간다고 굳게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대체 어떻게 이 먼 별빛을 구분했을까? 최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이 놀라운 현장을 다시 관측하며 허블 관측에서 놓쳤던 예상치 못한 비밀까지 밝혔다. 가장 먼 별빛까지 끌어당기는 마법, 중력렌즈우주 끝자락에 숨은 별빛은 너무 어둡다. 하지만 우주에선 그 어두운 별까지 볼 수 있는 마법이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누가 쓰려 할까? 활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프레스턴 교수는 “위장 기능이 있어, 현장 과학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생태학 연구자들이 작은 곤충 등을 살아있는 채로 포획하는 데 쓸 수 있을 거란 의미다. 그렇군! “전기가 흐르는 젓가락으로ㅍ짠맛을 느끼게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