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허공"(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돌릴 때마다 스마트로프에 중간에 달려 있는 LED가 사용자 눈높이에 맞춰 줄넘기 횟수를 허공에 표시한다. 손잡이 안에 있는 센서가 회전을 감지하고, LED로 잔상을 남겨 횟수를 보여주는 것이다. 네 자리 숫자까지 나타낼 수 있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스마트짐을 실행해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던진, 첫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A4 크기 용지 한 장에 빼곡히 적어 갔던 질문들이, 시험실 허공을 떠도는 거위 털들과 함께 날아가는 것 같았다. “무게 대비 보온 성능은 천연 다운이 훨씬 좋습니다. 디자인이나 길이에 따라 패딩의 보온 성능을 비슷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인공충전재가 훨씬 무겁다는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울음을 멈추었고 호흡을 가다듬었다.기억을 메인컴퓨터에 복사하는 동안, 마르지에는 허공에 창을 띄우고 벨라트릭스를 관찰했다. 항성 표면은 이전의 평온함을 되찾아갔다. 정상적인 항성의 표면에서는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수학적 도형의 이미지들이 그 표면 위에 나타나고 있었다. 도형들은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자판 모양을 쏘아 손가락으로 두드려야 할 것이다.게다가 아직까지 터치스크린 없이 허공에서 이뤄지는 제스처는 한 번에 입력하기가 쉽지 않다. 같은 동작 또는 같은 말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거나, 전혀 다른 기능으로 알아듣기도 한다. 제스처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려면 기기가 제스처를 한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흐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분석했다. 그 결과, 매미가 날개로 회오리를 일으키듯이 허공을 휘저으며 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매미는 나는 동안 방향을 쉽게 바꾸지 못하고 앞으로만 날았다. 하지만 다른 곤충보다 훨씬 더 적은 힘으로 날개를 적게 움직여도 먼 거리를 빠르게 날아갈 수 있었다.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2]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야, 그러지 말고 형님한테 털어놔 봐. 나 물에 빠지면 입부터 가라앉는 거 알지?” (소년, 허공을 바라보며) “형, 인생이 참 웃긴 것 같아요. 딴 놈이 제 여자친구한테 집적대는 와중에 전, 그 여자애 얼굴이 자꾸 떠올라요.”정 중앙 선에서 입사각 15도로 넣어라“얼마 전부터 고깃집에서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공간과 개념이 비슷하다. 우주를 상상해보라. 좌우, 앞뒤, 위아래로 무한히 펼쳐져 있는 허공 속에 혼자 떨어져 있는 별이 다른 별들의 중력을 느끼며 쉬지 않고 움직이는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가. 라이프니츠가 생각한 우주는 달랐다. 그는 뉴턴의 제자 새뮤얼 클라크(뉴턴의 ‘광학’을 라틴어로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설명했다.“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소리나 열로 전환돼 허공에서 사라집니다. 이런 사실을 우리는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있죠. 버려지는 에너지만 잘 모아도 전자기기의 효율을 지금보다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겁니다.”◀ 미국 캔자스주립대 공대 학생들이 우주인의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얘기를 10번도 넘게 했다.3분쯤 지났을까. 드디어 팔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머리 위 허공을 오른손과 왼손으로 번갈아 찌르는 동작. 누가 가르쳐주지 않았는데 박자에 맞춰 저절로 몸이 움직이는 것이 신기했다. 다음 동작은 팔 돌리기. 양손을 ‘안녕’ 인사하듯 접고 가슴 높이에서 돌리는 춤이었다 ...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연결된 발전기를 돌려 만드는 전기는 효율이 30~40%에 불과합니다. 공급된 열의 3분의 2는 허공으로 사라지지요. 열역학 관점에서 보면 전기는 열보다 3배 이상 귀한 고급에너지입니다.“그러니까 난방 같은 저온 열에너지를 얻으려고 전기를 쓰는 건 낭비다, 이 말이야. 등유나 가스난로는 효율이 80~90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