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확인에는 법과학 분야의 첨단기술이 총동원된다. 일차적으로는 세척된 뼈를 계측해
해부학
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종을 확인한다. 뼈의 손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3차원(3D) 스캐너로 손상 부위를 정밀하게 복원하고, 이후 3D 프린팅으로 유해의 상실 부분을 재생한다. 이후 계측된 정보를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하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선웅 고려대 의대
해부학
교실 교수는 “실험을 통해 동물의 해마에서 평생 새로운 뉴런이 생긴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사실로 확인됐다”면서도 “살아 있는 사람에게는 안전성 여부나 윤리적인 이유로 마커를 주입할 수 없기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달고 피부와 연결시켜서 표정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사람의 얼굴 근육의
해부학
적 배치와 얼굴 근육이 표정을 구현하는 원리를 참고해 모터와 와이어를 배치했다. 가령 양쪽 입꼬리에 와이어로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켜 입꼬리를 잡아당기면 웃는 표정이 나온다. 하지만 모터로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10여 년간 의학 일러스트를 꾸준히 그려온 오제훈 씨는 “새 학기부터 연세대 의대에서
해부학
을 공부해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일러스트를 그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점 등을 감안하면 엄청난 열정이다. 덕분에 오늘날 X선 촬영 사진에 필적하는 상세한
해부학
스케치가 탄생했다. 그는 인간의 눈을 해부해 그리면서 각막과 수정체의 기능을 연구했다. 또 인간의 척추가 곡선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인간의 혈관을 그리면서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의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선임연구원은 세포벽을 빨갛게 염색한 목부재 조각을 현미경으로 보여주며 “
해부학
적 형태를 보면 수종을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다”며 “조선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에 수입된 일본 목재를 가려내는 데도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조사를 마친 뒤에는 부재에 전자태그(RFID)를 달고 수장고에 ... ...
[과학뉴스]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역사상 가장 완벽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으로 알려진 ‘리틀 풋(Little Foot)’을 드디어 연구할 수 있게 됐다. 1994년 남아프리카공화 ... 진화연구소에서 대중에게 공개했다. 클라크 교수는 “초기 인류의 외관 골격과
해부학
적 구조, 운동 능력 등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과학뉴스] 걸으면서 커피 쏟지 않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또 영국의 의사인 제임스 히스콧은 나이가 들면 귀가 커지는 이유를 연구해서 ‘
해부학
상’을 받았답니다. 이처럼 이그노벨상을 받을 수 있는 첫 번째 기준은 무엇보다 재미예요. 그래서 다소 우스꽝스러운 연구들이 많지요. 하지만 그 이면에는 호기심, 그리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즐거운 과학 ... ...
Part 5. 돌돌 말아서 척! 종이로 사람의 몸속을 그려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멋지다고 생각했죠. 그때부터 사람의 몸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해서 2010년엔 본격적으로
해부학
을 배우기도 했답니다. 리사 닐슨은 자신이 느꼈던 몸의 아름다움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서 이 작업을 시작했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몸속을 보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징그럽다고 ... ...
[과학뉴스]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약 600만 년 전에 살았던 수달(Siamogale melilutra )의 두개골 화석을 3차원으로 재구성해
해부학
적 구조를 비교했다. 그 결과 현존 수달에 비해 고대 수달은 몸집이나 두개골, 특히 턱뼈가 훨씬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존 수달의 위아래턱을 다 합친 크기와, 고대 수달의 아래턱 크기가 비슷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