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합계"(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과학동아 l1990년 08호
- 0분) 영어(1백50점, 70분), 수학(3백점, 1백30분), 과학(3백점, 1백30분)을 치르게 된다. 이 점수 합계 9백점에 내신 점수 90점을 합한 9백90점이 만점이다.내신은 거의 합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체석차 10%안에 드는 학생들에게만 응시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특별전형으로 1차를 면제받는 학생도 ... ...
- 로터스로 작성하는 프로그램과학동아 l1990년 07호
- 그 합을 구하는 것임을 생각해볼 때 이 두 개의 매크로(숫자를 계속 입력하고 그 합계를 내주는)의 효용가치는 매우 높다. 석차를 가리는 매크로 기능 지난달 로터스 강좌의 마지막을 기억하는지. 예제로 다룬 성적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생들의 석차를 내는데 평균과 국어 성적이 모두 같은 경우가 ... ...
- ④ 숫자를 그림으로과학동아 l1990년 05호
- 7)으로 나눈 다음 출력형식을 %로 지정한 것이다. 워크시트가 준비되었다면 용돈의 지출 합계가 표시되어 있는 C17..F17 영역을 그래프로 바꿔보자. 어떻게 하면 될까.그래프 타입(Type) 은 데이터들의 합이 100%가 되는 형태이므로 Pie로 하는 것이 좋겠다. 다음에는 X에 C7..F7을 입력하여 원형 그래프를 ... ...
- 용돈관리를 로터스로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생각해보자.경비합계에서 교통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려면 '교통비 합계/경비총합계'의 공식을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C17/G17을 입력한다. 그리고 결과값을 %로 표시하기 위해서 /Range Format 메뉴를 호출한 다음 Percent를 선택한다. 그러면 Percent 표시를 할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서Enter r ...
- 농업기상학과학동아 l1989년 11호
- 고려에 99회, 조선에 2백50회, 합계 3백55회 나타났다. 달무리는 고려에 23회, 조선에 46회, 합계 69회 관측되었다.기상관측에서 극광(오로라)의 관측기록도 우리의 관심을 끌게 한다. 조선시대의 자료에 의하면, 기원전 35년부터 19세기까지 2백회 이상 극광에 대한 관측기록이 보인다. 그것들은 푸르거나 ...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과학동아 l1989년 09호
- 64K 바이트의 램에는 약 5백만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므로 트랜지스터의 모든 합계는 1백만개에 못미친다. 따라서 8비트 퍼스컴도 1개의 IC로 집적회로화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이와 같이 종전에는 1개의 PCB 위에 많은 수의 범용 IC를 연결해서 제품(컴퓨터)을 만들었는데 현재는 1개의 ...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과학동아 l1989년 09호
- 즉 어느 집단에서 발생하는 방사선 피해의 정도는 그 집단에 속한 개개인의 피폭량 합계에 비례한다는 것이다.국제방사선방호협회(ICRP)는 지난 77년의 권고에서 한개인이 1년동안 1렘의 방사선을 쪼였을 경우 암에 걸려 사망할 확률은 0.01%라고 제시했다. 또ICRP는 일반인의 연간 피폭허용량을 0.5렘( ...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과학동아 l1989년 06호
- 인문계는 45점 이상, 자연계는 65점 이상을 뜻하는 것이다. 대체로 국·영·수 3과목 합계가 1백70점 이상이면 일류대합격이 안전하다고 보여진다. 적어도 1백50점 이상은 되어야 소위 말하는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다.다시 말하거니와 TV방송과외의 효율적인 시청방법은 첫째 철저한 예습, 둘째 중단없는 ...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수 있게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플라스틱렌즈 8g과 코발트합금프레임 8g으로 합계 16g의 안경도 나오고 있다.지금 쓰고 있는 안경은 몇g일까.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때 능률을 높이는 쾌적한 안경을 찾아보자.근시란 어떤 것인가눈의 구조는 카메라와 비슷하다(그림참조). 외부의 경관이 ...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⑤ 논리적 판단의 도구, 스프레드시트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에서 ◎SUM( )이 함수인데, 이 함수는 괄호안에 지정된 셀 혹은 영역에 들어 있는 수치의 합계를 구해준다. 따라서 셀 A5의 공식은 A1+A2+A3로 바꾸어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물론 ◎SUM( )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보기도 좋고, 관리하기도 편리하다. 만약 A1..A3의 영역을 SALES라고 이름붙인다면 ◎SUM(SALES ... ...
이전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