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평원
지면
빈터
광야
한채
d라이브러리
"
평지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공학] 인간처럼 넘어지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하지 않았다. 게다가 센서가 땅의 경사를 감지하기 전까지는 울퉁불퉁한 땅에서도
평지
에서처럼 움직여 쉽게 넘어졌다.루이스 교수팀은 로봇이 최대한 ‘잘 넘어지는’ 방법을 찾기 위해 넘어질 때 로봇이 받는 총 충격량을 계산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로봇이 바닥에 부딪힐 때 로봇의 관절이나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운전하는 일도 쉽지 않다. 그런데 만약
평지
가 아니라 울퉁불퉁한 땅이라면 어떨까?
평지
에서는 꼼짝도 못하던 사각 바퀴 자동차가 둥근 바퀴 자동차보다 더 잘 굴러갈 수 있는 지형은 없을까?둥근 바퀴를 생각해보자. 둥근 바퀴가 잘 굴러가는 이유는 그 질량 중심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기 ...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죽음●입선/김영남유혈목이가 두꺼비를 잡아먹고 있군요. 색이 화려한 유혈목이는
평지
나 물가에 살면서 주로 개구리류를 잡아먹고 살아요. 뱀은 먹이를 먹을 때 씹지 않고 턱을 크게 벌려 한 번에 삼킨 뒤, 천천히 소화시킨답니다. 동박새의 멋●입선/오명언초록색과 연한 갈색이 어우러진 예쁜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지만 수면이 노출된 부분도 적지 않다. 오름 습지는
평지
습지보다 규모가 작지만 생태학적으로는 매우 중요하다. “이곳에 습지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아, 여기 노루발자국이 있네요.” 최 박사가 가리킨 곳을 보자 각목으로 쑤셔놓은 듯 움푹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도로면 사이의 마찰은 굴림 운동으로 이어질 뿐 자동차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결국
평지
를 달리는 자동차의 운동을 방해하는 가장 큰 힘은 공기에 의한 저항력이다. 공기의 저항력은 공기 분자가 앞으로 나아가는 자동차와 충돌하며 전달하는 충격량 때문에 발생한다.- 2009학년도 고려대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자전거와 자동차가 겨루면 자전거가 이길 수 있다!?’ 거짓말이 아니다. 실제로
평지
에서 자전거의 최고 속도는 시속 130km에 달한다. 자동차가 고속도로를 달리는 속도와 맞먹는 셈. 일명 ‘누워서 타는 자전거’라 불리는 리컴번트는 일반 자전거보다 속도가 빠르기로 유명하다. 국가핵융합연구소 ... ...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35%의 철을 가한 것이다 빙하의 말단에서 흘러내리는 융빙수(融氷水)가 그 앞에 펼쳐진
평지
에 모래 · 자갈 등을 부채꼴로 퇴적시켜 만든 퇴적평원 또는 퇴적범람원(堆積氾濫原) 빙하성 유수 퇴적평야(氷河性流水堆積平野)라고도 한다 경사는 3˚~4˚의 완경사를 이루고 빙하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은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35%의 철을 가한 것이다 빙하의 말단에서 흘러내리는 융빙수(融氷水)가 그 앞에 펼쳐진
평지
에 모래 · 자갈 등을 부채꼴로 퇴적시켜 만든 퇴적평원 또는 퇴적범람원(堆積氾濫原) 빙하성 유수 퇴적평야(氷河性流水堆積平野)라고도 한다 경사는 3˚~4˚의 완경사를 이루고 빙하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은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고깔 모양의 붉은 언덕을 볼 수 있다. 흰개미들이 쌓아올린 개미집이다. 언뜻 보기에는
평지
에 불쑥 솟아오른 바위덩어리 같지만 가까이 다가가 살펴보면 흰개미 수만 마리가 모여 사는 개미집이라는 사실을 금세 알 수 있다.부드러운 피부를 갖고 있는 흰개미들은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기 때문에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자생한다.소나무는 자라는 지역의 기후와 지질에 따라서 금강형, 동북형, 중남부
평지
형, 중남부고지형, 위봉형, 안강형 등의 6가지 지역형으로 분류한다.특히 문화재 복원용 목재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금강소나무(강송 또는 춘양목)는 강원도 금강군에서 경상북도 울진, 봉화, 청송에 이르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