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테이블"(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사람과 컴퓨터를 잇는 다리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글도 가능하다. 서울대 미술관(MOA) 1층에는 서 교수의 방에 있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테이블이 마련돼 있다. 방문객들은 자유롭게 단어를 배치해 볼 수 있고, 다 만든 이미지는 바로 페이스북에 올릴 수도 있다.사람이 기준이 되는 연구다 보니, 서 교수의 연구들은 하나같이 흥미롭다. “회사에서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발효종을 만드는 자세한 과정은 3파트 참조). 고루 섞은 반죽을 둥글게 굴린 다음, 제빵실 테이블에 아무렇게나 두었다. 상온에서 알아서 부풀어 오르도록 하기 위해서였다.세 번째 미션. 건조하게 구워라하지만 잔뜩 부풀어 오른 것은 빵 반죽이 아니라 기자의 마음이었다. 기자와 상셰 쉐프는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올렸다(doi:10.1130/G38352.1).재즈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인 라르센은 8년 전, 방금 닦아낸 테이블에 반짝이는 작은 금속 입자가 떨어진 것을 목격했고, 우주에서 온 입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후 도심에서 우주먼지를 찾기 시작했지만 쉽지는 않았다. 6년 동안 단 한 톨의 우주먼지도 찾지 못했다.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안전성을 검사하고 있었다. 실제 아파트 단지의 모형을 300분의 1로 줄인 작은 모형을 턴테이블 위에 놓고 거대한 송풍기 5대를 작동시킨다.바람이 모든 방향에서 불 때를 고려해야 하는데, 선풍기를 옮길 수는 없으니 건물 모형을 360° 회전시키는 것이다.바람에 대한 안전성을 검사할 때는 건물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반전에 대한 대칭성은 입자물리학에서 많이 쓰는 기법이다.새로운 게임, ‘양자물질 테이블’을 채워라양자물질과 키타예프 주기율표의 등장은 물리학자들 사이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과거 응집물질물리학 연구가 특정한 현상을 발견한 뒤 그 현상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왔다면,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목성의 대기를 최초로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해 기계공학 실험에 쓰이는 대형 회전 테이블을 이용했다. 이 장치는 1분에 120번 회전할 뿐만 아니라 1t의 무게를 견디기 때문에 많은 액체가 담긴 탱크를 빠른 속도로 돌릴 수 있다. 연구팀은 지름 1m, 높이 1.37m의 원통형 쓰레기통을 구해 400L의 물과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무래도 저 고양이가 문제다. 물 폭탄이 끝났나 싶더니 고양이가 다시 아이들을 쫓는다. 테이블 위를 휘젓고 다니며 바닥에 식기구를 떨어뜨리고 난리도 아니다.“으아, 이제 식탁 끝이야! 끝장이다!”“에잇, 이판사판이다. 일단 뛰어!”위기 상황에서 아이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두 팔 두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작품을 선보였다. ‘서드 럼블’이라는 이름의 팀은 인텔 에디슨 보드를 장착한 턴테이블로 디제잉을 선보였다. 인텔의 리얼센스 카메라를 이용해 스캔한 뒤 다시 3D 프린터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제작 스타트업 루미도 참여했다.특히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NASA였다. NASA는 ‘3D 인쇄를 활용한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정말 다른 오빠들이 다 와 있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가족들도 함께요. 어른들은 피크닉 테이블에 앉아 있고 아이들은 끝없는 정원을 지치지도 않고 뛰어다녔지요.저는 눈으로 기준 오빠를 찾았지만 없었습니다.“기준인 좀 이따 만나게 해줄게.”남선 오빠가 소근거렸을 때의 제 기분을, 어떻게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부여했다. 코어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고 보관용과 샘플용으로 반을 나눴다. 그리고 코어 테이블에 순서대로 정렬했다. 그러면 퇴적학자들과 구조지질학자들이 와서 분석하고 사진을 찍었다. 마지막엔 샘플용은 샘플로 만들고(탐사대원들이 후속연구를 위해 자신의 연구실로 가져가기 위해 신청한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