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콜로라도"(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진드기 방제나, 유독성 살충제(DDT) 사용으로 논란을 빚은 콜로라도감자잎벌레 퇴치에도 siRNA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miRNA와 siRNA는 작은 RNA의 전부가 아니다. 새로운 작은 RNA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생명과학계의 또 다른 화두인 ‘유전자 가위’ 기술에도 작은유도RNA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린 강 퇴적지층은 콜로라도 강의 주요 지류인 그린 강이 흐르는 유타, 와이오밍, 콜로라도 주의 산간 분지 지역이다. 이 넓은 퇴적층은 약 5000만 년 전 신생대 에오세에 다양한 퇴적물이 산간 호수에 쌓이면서 형성됐다. 특히 건기와 우기에 따라 쌓이는 퇴적물이 달라서, 어둡고 밝은 지층이 얇은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제목을 알려주는 힌트도 숨어 있었다. 멤버마다 티저 영상의 배경 도시가 미국 콜로라도, 영국 런던, 스페인 바르셀로나 등으로 다 달랐는데, 이 도시의 앞 글자를 따면 ‘CALL ME BABY’라는 타이틀곡 제목이 된다.이처럼 엑소의 수수께끼는 공개와 동시에 화제가 될 정도로 난이도가 높았다. 그런데 ... ...
- [과학뉴스] 여학생이 STEM 떠나는 진짜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분야를 떠나는 이유는 능력 부족이 아닌 자신감 부족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수학과 제시카 엘리스 교수팀은 STEM 분야의 필수 과목인 미적분학I에 주목했다. 학생 상당수가 이 과목에서 좌절감을 느껴 전공을 그만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미적분학I을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비슷한 취향의 타인에게는 마음을 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실험 결과가 있었다. 미국 콜로라도대 심리학과 톰 피진스키 교수팀은 실험 참가자를 세 그룹으로 나눠 지루함, 자연스러움, 외로움을 떠올리게 했다. 이어서 참가자끼리 자유롭게 대화한 뒤 친밀도를 평가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느꼈던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야기해보자.공포는 밖으로 향한다우선 공포는 우리의 마음을 편협하게 만든다.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죽음의 공포를 자세히 떠올리게 하고, 다른 참가자에게는 일상적인 일을 기억하게 했다. 그 후 참가자에게 함께 과제를 할 가상의 파트너의 프로필을 보여 주고 상대가 ...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연구소,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956년 설립된 NCAR는 미국 서부 콜로라도 주 북서부의 볼더라는 도시에 있습니다.첨단 기상 기후 연구소미래의 날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대기 운동을 지배하는 수많은 방정식들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수치예보모델이라고 하는데요. 대기를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높다. 폭약의 주성분인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TNT)을 감지하는 센서가 대표적이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준 메드포드 교수팀은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아 TNT를 감지하면 엽록소의 기능이 정지해 색이 하얗게 변하는 ‘감시 식물(sentinel plant)’을 개발했다(85쪽 사진).5) ... ...
- [News & Issue]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리포트’ 1월 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구덩이 모양의 화석 50여 개를 미국 콜로라도 주의 1억 년전 중생대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했다. 구덩이 안에는 공룡이 발톱으로 긁은 흔적이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대형 육식공룡 수컷이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땅바닥을 긁어댄 흔적이라고 판단했다.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시 짜야했다.최근에는 아예 광케이블을 없앤 ‘무선마우스’가 등장했다. 정재웅 미국 콜로라도대 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지난 7월15일 초소형 LED를 탑재한 새로운 광유전학 장비를 ‘셀’에 발표했다. 반도체 공정을 통해 개발한 이 장치는 외부에서 따로 전원이나 빛을 공급하지 않아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