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d라이브러리
"
침투
"(으)로 총 694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백질을 곧바로 만들어낼 수 있는 RNA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핵까지 유전체를
침투
시켜야 하는 DNA 바이러스보다 생존에 유리하다. 또 단백질을 합성한 뒤 잘라서 쓰는 시스템도 복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바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이런 전략을 쓰고 있다.복사한 유전체를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침전물에서 각각 발견됐다. 단백질은 박테리아 세포로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
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뜻이었다. 이 실험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하던 보르데는 한 가지 업적을 더 남겼다. 당시 면역학자들은 병원체
침투
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연구하기 위해 박테리아(세균)를 배양했다. 박테리아는 빠르게 번식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면역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항원의 양을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데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물질의 정보를 기억한다는 사실을 처음 증명했다. 인간을 비롯한 고등생물은 체내로
침투
하는 항원에 대항하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면역시스템은 외부 물질을 인식하고 유해성을 판단해 제거한다. 그리고 외부 물질의 정보는 항체로 저장해 다음에 똑같은 물질이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만능(universal) 백신을 꿈꿔왔다. 만능 백신은 어떤 바이러스가
침투
하든 모든 항원에 대해 면역력(항체)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백신이다. 현재 백신은 감염병이 발생한 뒤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맞춰 개발된다. 그런데 만능 백신은 이론적으로 감염병이 발병하기 전에 우리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지만 세포와 만나면 비로소 생명체로서의 활동을 시작한다. 바이러스는 세포 속으로
침투
해 유전물질을 내뱉고 세포가 이를 복제하도록 하며, 복제된 유전물질을 잘 포장한 뒤 세포 밖으로 탈출한다. 이처럼 세포가 있어야만 세대를 이어갈 수 있다는 특성상 세포 없이 바이러스가 지구에 먼저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여드름이나 종기의 고름은 호중구가 염증 반응을 일으킨 결과물이다.호산구는 기생충이
침투
했을 때 출동하며, 호염구도 기생충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워낙 숫자가 적어 실질적인 기능은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단핵구는 다른 식세포에 비해 크다. 혈액을 따라 순환하다가 문제가 발생한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perforin)을 뿌려 세포막을 녹여 구멍을 낸다. 그런 다음 그랜자임(granzyme)을 세포막 내로
침투
시켜 세포질을 해체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 같은 비정상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림프구가 활성화되도록 돕는다. 특히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 반응이다. 바이러스가 활성화된 상태인 생백신을 접종하면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투
해 증식을 시작한다. 그러면 후천 면역반응 중 세포 매개 면역반응과 항체 매개 면역반응이 함께 일어난다.생백신의 가장 큰 장점은 한 번 접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해 항체를 생성할 수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
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항체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