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d라이브러리
"
절단
"(으)로 총 380건 검색되었습니다.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앞으로 풀어야 할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는 ‘위치’다. 현재는 팔이 팔꿈치 위쪽에서
절단
된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 팔꿈치 윗부분은 팔꿈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신호와 손가락을 움직이는 신호가 섞여 있어 원하는 특정 신호만 가려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팔의 잘린 부분에 있는 신경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두께가 10cm인 스테인리스 금속을 자르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것을 ‘실감형 원격
절단
시뮬레이터’와 결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실감형 원격 시뮬레이터는 오염된 부위를 정확하게 자르고 담는 훈련을 도와주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다. 궁극적으로 조종실에 있는 로봇팔을 움직여 현장에 있는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과학자들이 주목한 부분은 쥐 A와 피를 공유하는 쥐 B의 정상적인 간이었습니다. 간을
절단
한 건 쥐 A니까, 쥐 B의 간은 그대로여야 했죠. 하지만 놀랍게도 쥐 A의 간이 재생되는 동안 쥐 B의 간도 함께 자랐습니다. 쥐 A의 간을 85% 가량 잘라내면 쥐 B의 간은 정상의 6~7배로 커졌습니다. 쥐 B의 간에는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강박장애의 원인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토토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 개의 경우 꼬리
절단
수술을 받은 뒤 뒷발 등 신체의 다른 부위를 씹어 상처를 입히기도 했습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도 약물치료가 아주 중요합니다. 토토의 경우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했다. 전국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3D 프린팅 학회를 만들어 세미나를 개최했다.
절단
장애인들을 위한 의수를 3D 프린터로 출력해 만들어 주는 봉사활동도 기획했다. 또 여름방학에는 베트남에 해외 봉사를 다녀왔다. 그는 이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얻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스타트업을 시작할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장애인’이라 뭉뚱그려 부르지만, 장애의 모습은 셀 수 없이 다양하다. 같은 하반신
절단
장애인도 한쪽 발목이 없는 사람, 한쪽 종아리가 없는 사람, 두 다리가 없는 사람 등 종류가 무한에 가깝다. 그래서 공정한 규칙을 찾는 건 중요한 숙제다. 공정함을 위해 패럴림픽은 몸을 사용할 수 있는 ... ...
[과학뉴스]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분자 구조를 설계했다. 이 소재는 기존 소재보다 기계적 강도가 2배 이상 컸다.
절단
후 붙이면 2시간 만에 달라붙어 원래 강도를 80% 이상 회복했고, 6시간 뒤에는 완전히 회복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보호필름이나 자동차 도장 등 다양한 분야에 이 소재가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doi:10.1002 ... ...
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내부의 설비들을
절단
하고 철거할 수 있게 되지요. ➊ 원자력 발전소 내부 구조물을
절단
한 뒤, 방사선 양을 측정하는 모습. ➋➌ 미국 코네티컷주 양키 원자력 발전소는 1998년 해체하기 시작해 2007년 해체가 완료됐다. 사진은 해체 중인 2003년(➋)과 해체가 완료된 2007년(➌)의 모습. 철거가 끝나면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원격
절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로봇 팔과 레이저
절단
기술이에요. 원자로 압력 용기와 원자로 내부 구조물은 중성자와 직접 부딪히기 때문에 내부가 방사성 물질로 바뀌어 있어요. 그래서 제염을 해도 방사능 수치를 낮출 수 없어 잘라서 버려야 하지요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 cing)’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염기서열을 작은 DNA로
절단
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한 것이다. 마누엘 스파나글 독일환경보건연구센터 박사는 “양조 과정에 특히 중요한 아밀레이스 효소처럼, 농업 및 산업적으로 중요한 유전자 군을 상세하게 분석할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