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고
d라이브러리
"
저장고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세기가 상대적으로 더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바다는 지구에서 가장 큰 열의
저장고
다. 열용량이 다른 바다 위로 태풍이 지나가면 수온 변화로 인해 대기의 안정도마저 변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는 허리케인이 발생할 경우 대기와 해양의 수직구조를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셀룰로오스로 이뤄져 있다. 지천에 널린 나무와 잡초 등이 모두 살아있는 셀룰로오스 ‘
저장고
’인 셈.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이 여러 개 결합한 고분자이기 때문에 셀룰로오스를 포도당으로 분해하기만 한다면 바이오에탄올을 쉽게 얻을 수 있다.셀룰로오스 분해 효소를 가진 미생물을 사용하면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갖춰져 있었다. 서너 개가 넘는 기숙사가 있으며, 냉장고조차 하나의 건물이었다. 석유
저장고
, 발전소, 체육시설, 식당, 과학센터 등이 있었다.과학센터의 한 구석에 사람들이 서넛 앉으면 적당할 정도의 자그마한 방이 바로 우리 팀을 위해 마련된 사무실이었다. 우리가 실제 실험을 하는 장소는 ... ...
흡수식에 완승 거둔 응축식 냉장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흡수식 냉장 기술 모두 대규로 공장에서 상용화될 정도였다. 맥주 양조장이나 공장
저장고
에서 대형 냉장 설비들을 대량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기술에 완벽을 기할 수 있게 됐다.하지만 두 가지 냉장 기술의 공존은 오래가지 못했다. 가정용 소형 냉장고 시장이 형성되면서 두 기술 간의 균형에 금이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년간 지구가 받는 태양열로 바닷물의 온도는 고작 1℃밖에 오르지 않는다. 바다는 열
저장고
인 것이다.미래에 급작스런 기후변화가 닥칠지 예측할 수 있을까? 현재의 지구온난화가 우리 세대에 혹시 급작스런 기후변화를 가져오진 않을까? 아마도 이 질문이 현대인에게 가장 와 닿는 궁금증이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꾸밀 수 있기 때문이다. 퍼펙트 스톰은 지구를 지키겠다는 사명감보다는 고깃배의
저장고
를 가득 채운 생선이 더욱 큰 호소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다. 한번 출항으로 얻게 되는 푼돈에 연연하는 것이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이기 때문이다.그렇다고 해서 퍼펙트 스톰의 스케일이 다른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cycle system)의 균형을 맞춰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무한한 용량의 천연
저장고
자연의 이산화탄소 순환계는 장기적으로는 평형상태에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매우 유동적이다.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자연 작용(natural process)이 가속되면 그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분리·저장시킬 수 있는 ... ...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일부 탄소를 뿌리로 수송하는 방식으로 천연 이산화탄소
저장고
역할을 한다. 바로 이에 근거해, 광대한 구역의 삼림화를 통해 이산화탄소 흡수 총량을 높이는 방법이 연구중이다. 이 전략에 따라 한편에서는 재삼림화를 촉진하는 한편, 이산화탄소를 특히 잘 흡수하는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수분과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일이 필요하다. 따라서 탄수화물을 섭취해 체내의 글리코겐
저장고
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이 장시간 지속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신경말단에서 노르아드레날린, 부신에서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진다. 이는 최대한 에너지를 생산하라는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만난다. 여기서부터는 물은 퇴적층에 흡수돼 저장된다. 퇴적층은 물을 함유할 수 있어
저장고
역할을 한다. 제주 지하수의 비밀은 바로 여기에 있다. 충분한 양의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퇴적층이 해수면 근처에서부터 발달돼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제주에 지하수가 있다는 것은 단순히 제주도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