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d라이브러리
"
작고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현과 복제가 이뤄져요 . 변이가 쌓이면 문제가 생기므로 수시로 고치는 과정도 있죠. 이
작고
빽빽한 곳에서 각각의 작업을 맡고 있는 단백질들이 이 모든 과정을 수행하고 있어요.”유전체 구조 조절하는 DNA 단백질 모터유전자의 발현과 복제 그리고 DNA 구조를 담당하는 중요한 단백질 중 하나가 ... ...
[과학뉴스] 달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식물의 모습이 소금이나 금속 등에 노출되었을 때와 비슷하게 스트레스를 받아 잎이
작고
,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도 발견했지요.펄 교수는 “식물의 유전 정보와 달 토양에 대한 반응을 분석해서 달 토양에서 식물이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잘 자라는 방법을 찾고 싶다”고 말했어요.●유전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라는 별명을 가진 중성미자 얘기다. 중성미자는 그야말로 유령처럼 산다. 질량이 매우
작고
전하를 띠지 않는 데다, 오직 약한 핵력과 중력에만 반응을 한다. 결과적으로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 중성미자가 반응하는 약한 핵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대물리학의 근간인 ... ...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색상과 무늬가 천차만별입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치의 알은 청회색 바탕에
작고
어두운 반점 무늬가 있습니 다. 물가에서 자주 보이는 괭이갈매기의 알은 올리브색 바탕에 검은색에 가까운 반점 무늬가 있습니다. 비둘기는 하얗고 무늬 없는 알을, 제비는 하얗고 붉은 빛이 도는 바탕에 ... ...
[출동! 슈퍼M] “자전거 바퀴가 작으면 속도가 느린가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0호
접어서 차에 싣고 옮기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요. 또 미니벨로 자전거는 바퀴 크기도
작고
몸체의 무게도 가벼워서 자전거를 타다가 속도를 갑자기 줄이거나 높일 때 더 적은 힘이 들어요. 안장의 높이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키가 자라는 성장기 어린이도 오랫동안 탈 수 있다는 ... ...
[SF 소설]톨리의 숲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힘을 빌려 멋진 그림을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 앞으로도 기대해 주세요! 톨리는
작고
빨간 새였다. 그 사실이 변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았다. 티타니아 그룹의 중추 AI 테세우스에서 분리되어 보육 네트워크에서 학습하는 동안만 해도 톨리는 무엇이든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에코버스에 배치된 ... ...
[가상 인터뷰] 세균은 장애물 있으면 더 빠르게 움직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체죠. 크기는 0.2μm(마이크로미터)●에서 10μm 정도로 무척
작고
다양합니다. 제 몸에는 꼬리처럼 생긴 ‘편모’가 한 개 이상 달려 있어 세균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해요.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모양인데, 제 몸통과 편모 사이에 있는 ‘모터’가 편모를 회전시켜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학교 문을 나서면 매일 같이 성당으로 이어지는 뒷산에 올라 세계를 관찰했다. 그는
작고
바람에 흔들리는 것들을 사랑했다. 집 근처 나무들을 가리켜 ‘쟤네들’이라 불렀고 다리 위로 기어오르는 풀벌레를 ‘얘’라고 불렀다. 성당으로 내려오면 준이는 아무도 없는 강당에서 어젯밤에 작곡한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Arabidopsis thaliana)다. 애기장대는 전체 염기서열이 해독된 최초의 식물이다. 또 크기가
작고
성장이 빨라 연구에 적합하다. 과학자들은 이 애기장대를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하면서 성장 반응을 확인한 바 있다. 애기장대를 키우기 위해 연구팀은 아폴로 11호(1969년), 아폴로 12호(1969년), 아폴로 17호(197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나타난다. 화면의 크기는 작으면서도 많은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글자 크기는
작고
자간은 좁아 화면을 읽어내는 데 느끼는 어려움은 더 커진다. 두 번째 난관 │고객을 돕지 않는 기계익숙하지 않은 주문 절차도 고령층이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유승헌 고려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