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담
가십
이야기
ILHWA
일화음료
실화
비사
d라이브러리
"
일화
"(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사례로 영국 의사 존 스노우가 보로노이다이어그램을 활용해 전염병의 원인을 설명한
일화
가 있어요. 1854년 영국 런던 소호에서는 콜레라가 크게 유행했어요. 콜레라는 감염되면 설사와 탈수 증세를 일으키는 질병으로,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는 무서운 병이에요. 스노우는 식수로 쓰던 템스 강의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이 책을 읽기로 결심한 독자라면 적어도 책 중반에 나오는 로스앨러모스 프로젝트 참여
일화
와 책의 에필로그로 실린 강연문 ‘과학의 가치’는 읽어보길 권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신이 그토록 사랑하던 과학이 참혹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몸소 느낀 파인만은 후배들에게 항상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득공을 해보면 어떻겠냐고 묻자, 스승은 하늘이 준 목이니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는
일화
가 있습니다. 득공 없이도 인간문화재가 된 타고난 소리꾼 김소희 명창의 춘향전을 들어봅시다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은 언어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부족했지만 신념이 뚜렷한 과학자였습니다. 이런 기브스의 성격을 잘 알려주는 재미있는
일화
가 있습니다.대학교 교수였던 기브스는 학교에서 수학과 언어 과목을 일주일에 몇 시간씩 가르쳐야 할지 결정하는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소극적인 기브스는 그날도 입을 다문 채 자리만 지키고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때 접히면서 남은 주름살 중 하나로, 아무런 쓸모가 없는 기관이라고 생각했다.재미있는
일화
도 있다. 가수 윤종신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개복 수술을 할 때 의사가 충수를 서비스로 떼주었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멀쩡한 충수라도 어차피 기능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150년 전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할 때 필라멘트의 재료로 수천 가지의 물질을 시험했다는
일화
가 연상되는 우직한 방법이다. 하지만 성과가 있다. 예를 들어 1초를 주기로 자극 펄스의 강도를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무언가가 손가락을 감싸 쥐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근에는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여성이 무지한 것은 타고난 천성이 아니라 교육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이런
일화
가 있다. 어느 날 에밀리는 수학자와 과학자들의 만남의 장소로 유명한 한 카페에 들어가려고 했다. 하지만 당시 파리의 카페들은 여성의 출입을 금지했다. 이 규칙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 에밀리는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한다.그는 부인의 돈을 돌려주었고 그 뒤에도 가끔 소매치기를 찾아가 술을 샀다.이상한
일화
였다. 너무 이상해서 어느 부분에서인가 왜곡되었거나 잘못 전해진 것만 같다.청년은 자주 그 역전을 회상했다. 아마도 그곳이 어떤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단계를 뛰어넘은 사건이다. 청년의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955년에 할데인이 ‘신생물학(New Biology)’이라는 과학잡지에 발표한 글과 더불어, 이
일화
는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 최초로 밝혀낸 선구자는 할데인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자주 인용된다. 해밀턴은 할데인의 해결책을 은근슬쩍 물려받아 이를 정교한 수식이론으로 발전시킨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신축성에 대해 읽은 한 어린이 독자가 엄마에게 콘돔에 물을 담아보자고 졸랐다는
일화
도 떠올랐다. 다트넬 교수의 얼굴에서 호기심 많은 소년이 겹쳐 보이는 듯했다.그는 본업인 우주생물학 연구를 이어가면서 다음 책도 준비중이다. “과학과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