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전
전도
복구
회복
복귀
복원
부흥
d라이브러리
"
역전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3화 큐피트상과의 한판 승부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둘러싼 큐피트상들과의 한판 승부! 어떻게 된 사연일까? 이야기는 하루와 함께 중력
역전
행성을 떠나던 때부터 시작된다.미션 ❶ 절대 눈을 감지 마시오!“꼭 가 보고 싶은 곳이 있네. 그곳에 데려다 주면 다음 번에 아무 소리 안 하겠네.”데카르트의 고집스런 표정에 폴리스는 체념한 얼굴로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특히 게이샤는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과는 또다른 역경을 겪었어요. 기구한 인생
역전
이요.게이샤는 원래 에티오피아의 게샤 지방의 마을에서 자라던 재래종이었어요. 에티오피아에는 커피의 원산지답게 지금도 수많은 재래종이 자라고 있지요. 이 중 하나가 케냐를 거쳐 보다 남쪽의 탄자니아에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눌렀다.“캬캬…? 중력
역전
? 지금 뭐 하는 거야?”피타가 태블릿PC에 ‘캬캬’와 ‘중력
역전
’이라고 검색하자 캬캬족의 사진과 정보들이 화면에 떴다.“이건 뭐야?”그러자 폴리스가 흘끗 바라보며 말했다.“시공간 정보 사전이야. 궁금한 것이 있으면 찾아보면 돼. 우리가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
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돌연변이나 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78만 년 전 브루네스-마츠야마 자기장
역전
이 일어났을 때 플라크톤의 일종인 방산충 수 종이 멸종한 기록이 있다.170년간의 지질 기록이 보여주듯 오늘날 지구 자기장은 확실히 약해지고 있다. 하지만 도 교수는 “지구란 스케일에서 볼 때 170년은 너무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태양의 흑점은 11년을 주기로 수가 많아졌다 적어진다. 태양의 자기장도 11년을 주기로
역전
된다. 태양의 북반구와 남반구는 각각 S극 또는 N극을 띠는데, 11년마다 이게 바뀐다는 뜻이다. 따라서 태양의 흑점과 자기장이 다시 처음 상태로 돌아오는 데 22년이 걸린다. 지난 2010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 ...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풍속 또한 고도에 따라 증가한다. 대류권과 달리 남북 방향의 온도 기울기는 성층권에서
역전
돼 북쪽보다 남쪽에서 오히려 더 낮다. 따라서 편서풍의 풍속은 대류권계면에서 최대가 되고 이후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한다. 대류권계면 부근에서 나타나는 최대풍속의 편서풍을 제트류라고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중이었다. 프랑스 솜에서 연합군을 상대로 힘겨운 싸움을 하던 독일군은 전세를
역전
시키기 위해 염소를 이용하기로 결심했다. 바람이 연합군의 진영으로 불기 시작하자 독일군은 염소가스통을 열었다. 불과 10분만이었다. 연합군 군인들이 순식간에 쓰러졌다. 5000명이 사망하고 1만 5000명이 부상을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10만 년에서 100만 년 간격을 두고 보통 일어나는데, 가장 최근은 78만 년 전이야.자기장이
역전
될 경우 체내에 있는 나침반으로 길을 찾는 고래나 철새 같은 동물들이 길을 잃어 위험에 처할 수 있고, 치명적인 우주 방사선이 비켜가지 않고 지구로 그대로 쏟아져 들어올 수 있어.래이스롭 교수는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반사된 에너지가 상층에 모이고 지표면이 급격히 냉각된다. 상층의 기온이 더 높은
역전
층이 발달하면서 고기압이 형성된다. 때문에 시베리아 지방에 일찍 눈이 쌓이면 시베리아 기단이 더 빨리, 더 춥게 형성된다. 보통 시베리아 기단은 영하 30℃ 상태에서 만들어지는데, 기단이 만들어질 때의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앞선 듯 했다. 하지만 2011년 5월 과학지 ‘네이처’에 논문 한편이 발표되면서 상황은
역전
된다. 주인공은 우주에 떠 있는 천체가 아니라 아주아주 작은 전자였다. 전자는 이제까지 관측한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완벽한 구 모양이었던 것이다.어느 정도냐 하면 완벽한 구에서 0.000000000000000 00000000000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