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성함"(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 후보 정말 찾았나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별을 구성하는 일반 물질보다 5배 많고 우주 전체 질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암흑물질’ 발견이 임박한 걸까. 암흑물질 존재를 암시하는 서로 독립된 두 연구가 최근 발표됐다.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본격적인 발견으로 보기는 이르다고 말했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4 ... ...
- 와이어 타고 춤추며 ♪ 큰 소리 로 노래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어디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왜 갑자기 노래를 해?나도~ 잘~ 모르겠어~. 이~ 소리를~ 들으니까~ 노래를~ 해야~ 할~ 것~ 같아아~.앗~ 내~ 귀에도~ 들려~. 어머~ 나도~ 노래를~ 하고~ 있네~? 저 문 너머에서 들리는 소리구나~.보고 듣고 감동하는 종합 선물 세트!앗, 친구들이 모여서 노래를 하고 있어!이 분 ... ...
- 내게 맞는 직업은 뭘까? 한국잡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나는 한국잡월드의 마스코트 ‘내로’야. 직업을 한번 체험해 보면 꿈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 알고있니? 팔찌를 차면 멋진 직업 체험이 펼쳐진다고. 우리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을 대신해 명예기자 채은이와 유진이가 한국잡월드에 다녀왔어.채은 ... ...
-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띵동 띵동~! 문자가 왔습니다.’ 아영아, ‘어린이과학동아’ 편집부에서 지령이 왔어. “물의 행성을 취재하시오?”물의 행성? 무슨 말이지? 우주에서 발견된 새로운 행성인가? 으~. 어렵다, 어려워~!맞다! 우리가 사는 제주도에 새로 생긴 아쿠아리움 이름이 ‘아쿠아플라넷’이야. 이 곳이 물의 ... ...
- 우리 선생님은 만화가! 옥상헌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에이, 선생님~! 이게 뭐예요! 제 얼굴 아니잖아요~.맞는데? 쫙 찢어진 눈에 움푹 들어간 보조개까지…. 승표 너 맞는데 뭘~.에이 아니에요! 선생님은 만화가라면서 그림도 못 그리시네요~.하하하, 이렇게 인물의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그림을 캐리커처라고 한단다. 우리 반 아이들은 서로 그려달라고 ... ...
- 모모와 요괴들의 수상한 모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안녕, 친구들? 내 이름은 이와라 하오. 극장에서 날 만난 친구들은 내가 누군지 아실 것이오. 오늘 나와 카와, 마메는 모모 아씨를 한 번 더 뵈러 갈 것이오. 하늘나라에 계신 아씨의 아빠께서 애니메이션 세계로 수상한 모험을 다녀오라고 하셨기 때문이오. ‘눈에 보이지 않는 보물’을 아씨에게 전 ... ...
- [체험] 원 모양 색종이로 만드는 크리스마스 장식볼수학동아 l2012년 12호
- “하나야, 두리야. 12월엔 크리스마스가 있으니까 아빠랑 트리 장식을 해 볼까?”“네, 좋아요! 저는 반짝거리는 전구 장식을 맡을게요.”“아빠, 그런데 전구 말고 다른 장식품은 없어요? 동그란 장식볼이나 양말 같은 거요.”“아이쿠, 장식품을 더 사온다는 걸 깜빡했네. 그럼 그건 직접 만들어 ... ...
- INTRO. 변신 대 합체, 신화 속 괴물의 과학적 재발견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누군가 우리의 주인공 K를 중상모략한 것이 틀림없다. 아무 잘못도 하지 않았는데 어느 날 아침 자신의 몸이 이상하게 변해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K는 중얼거렸다. “이건 뭔가 잘못됐어. 몸이 변하는 건 카프카의 ‘변신’이라는 소설의 내용이야. ‘소송’이라는 소설이 아니지. 그런데 ... ...
- [합체] 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괴물인가 아닌가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합체]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괴물인가 아닌가“그런데 그 염소가 왜 그렇게 화제가 됐나요?”수의사는 바보 같은 질문을 한다는 듯 쳐다봤다.“꼭 신화 속 인물 같으니까.”그러고 보니 뭔가 떠오르는 게 있었다. 책장으로 달려가 입으로 책 한 권을 뺐다. 고대 그리스 신화를 기록한 오비디우스의 ...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➊울산 대곡리에 있는 암각화에는 먼저 고래와 사슴 그림을 그렸다가 그 위에 호랑이, 곰 등 맹수를 그렸다. 외계충격현상 때문에 맹수가 늘어난 상황을 묘사했을 가능성이 있다. 사진은 울산 암각화박물관에 전시된 반구대암각화 모형 중 맹수가 그려진 부분.]우리 역사는 수수께끼로 가득하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