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품위
d라이브러리
"
순도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결정구조가 얼마나 규칙적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결정구조가 규칙적일수록 전도성이 더 좋아진다. 그런데 결정구조가 2차원 평면이 아 ... 연구팀은 “각광받는 전도체인 그래핀에는 항상 결점이 있어 문제였는데, 이 기술로
순도
높은 고전도성의 그래핀을 만들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 ...
황금의 수, 18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수 있다. 또한 일본 가부키에서 유래된 ‘18번’에서부터 골프의 기준 홀인 18홀과, 금의
순도
중 하나인 18K까지 숫자 18은 수학 말고도 생활 곳곳에 많이 도사리고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 속에서 숫자의 의미를 찾는 일은 색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이제 숫자 18을 마주칠 때마다 수학을 찾는 즐거움을 ... ...
우유니의 은빛 거울이 스마트폰이 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그 결과 기존공정보다 리튬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86.9%). 또 추출 시간도 단축하고
순도
를 높였으며(99.6%) 2건의 지적재산권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희토류 경쟁에서 살아남는 법마지막으로 리튬 못지 않게 희귀하면서도 중요한 희토류도 알아보자. 희토류는 지난 2010년 센카쿠 열도 분쟁에서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들은 모두 트랜지스터를 기본 단위로 만들어진다.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모래에서
순도
가 높은 실리콘 결정을 뽑아내 만든다. 원통 형태로 만들어진 실리콘을 얇게 잘라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퍼에 회로를 그린다. 회로 위에 몇 십 나노미터 크기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 하나는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않아서 애벌레들이 먹기에 좋다. 잎도 두텁지 않고 가시로 완전히 무장하지 않은 새로운
순도
애벌레에게는 최고의 식사감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붉은점모시나비 애벌레들은 잎더미 속에서 쉼터를 마련하고 있다가 처음 나오는 새 순만 먹는다. 애벌레들이 새 순만 먹기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재스민에서도 발견된다. 인돌과 스카톨은 배설물 악취의 대표적인 원인 물질이지만
순도
가 높고 농도가 묽은 용액 상태에서는 향기로운 꽃냄새가 나서 향료의 원료로 쓰인다. 근원이 같다고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꽃향기와 똥냄새가 갖는 또 다른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냄새가 확산에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전문가들은 이를 “유용성의 차이”라고 설명한다. 같은 원료라도 고가의 화장품은
순도
가 높고 피부 안전성이 높은 성분을 혼합해 피부에 깊숙이 침투할 수 있어야 좋은 화장품이란 얘기다.현대화장품과 고대화장품도 유용성에서 차이가 난다. 과거나 지금이나 피부 보습과 영양을 위해 피부에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나노선 상태를 유지하면 우라늄을 만들거나 회수하는 과정에 미생물을 넣어 고
순도
의 우라늄을 얻기 쉽습니다. 나노 입자는 크기가 작아 일반 필터로 걸러낼 수 없지만 나노선 상태로는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방사성 물질인 용해성 우라늄 이온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분리한다. 이후 소금 호숫물에 쓴 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분리, 정제과정을 거치면
순도
높은 리튬을 얻을 수 있다. 사용한 흡착제는 다시 바다에 가져가서 재활용한다. 반영구적인 자원 생산이 가능한 셈이다. 지금은 리튬을 분리, 정제하는 공정을 육지에서 하지만, 앞으로는 모든 공정을 바다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흐르고, 동시에 정공은 P3HT쪽으로 흘러 태양전지가 작동한다.석 박사는 “나노입자의
순도
가 높지 않아도 작동하는 데 별영향이 없다”며 “아직은 시스템이 최적화되지 않아 효율이 낮은 편이지만 가능성이 확인된 만큼 미래는 밝다”고 말했다.➊ 한국화학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