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량"(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팀은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한다는 사실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우선 스위치 내부에 소량의 물을 넣은 뒤 물 위에 도체를 띄운다. 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면 이에 따라 도체가 상승하고, 도체와 도선이 연결돼 전력이 공급된다. 얌돌스 팀은 열선을 깐 도로 모형을 제작한 뒤 여기에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실리콘을 반도체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핑(반도체 공정에서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소량의 불순물을 첨가하는 작업) 작업을 하고, 빛 반사를 줄이기 위해 반사 방지막을 만들었다.학생들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포토리소그래피(사진을 찍는 것처럼 회로선을 만드는 기법)를 활용해 전극도 형성했다. ... ...
- [과학뉴스] 해변에서 자외선 차단제 사용 금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현재 미국 내에서 유통되는 자외선 차단제 중 여기에 해당하는 제품은 70%에 이른다. 극소량으로도 산호 폐사하와이는 해변에서 즐길 거리가 많은 대표적인 관광지다. 동시에 산호, 열대어 등 수많은 해양생물들의 보금자리기도 하다. 천연의 보금자리와 수많은 관광객, 이 둘이 만나자 여러 문제가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유전자는 갈색 눈동자 유전자에 비해 멜라닌 합성효소를 적게 만든다. 결국 멜라닌이 소량 합성되고, 파란색 눈동자를 갖게 된다. 즉 유전자에 따라 합성할 수 있는 단백질의 종류와 양이 달라지고, 이렇게 합성한 단백질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든다.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자에 발표했다.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여러 개 연결된 형태로, 펩타이드 치료제는 소량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어 차세대 약물로 꼽힌다. 단백질과 구조가 유사해 거부 반응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혈액 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이중 가교’ 기술을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6월 중순이 될 전망이다. 이때 연구단은 지열발전소 현장에서 지하 4.3km 지점에 들어있는 소량의 물을 빼내는 수리실험을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열공의 주입정 주변의 수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수리적 특성이란 투수성 등 암반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말한다. 예컨대 투수성이 좋으면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분광 스펙트럼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의 땀은 99%가 물로 이뤄져 있지만 극소량의 나트륨과 염소, 칼륨, 마그네슘 등이 들어 있고, 이 비율은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 이런 차이는 체질과 식습관, 약물 복용 여부, 흡연 등에 의해 생긴다. 연구팀은 지문에서 겹치지 않은 부분과 겹친 ... ...
- [Issue] 다이어트? 굶는 건 절대 안 돼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급격히 올리기 때문에 우리 몸에 혈당 쇼크를 줄 수도 있습니다. 정말 살을 빼고 싶다면, 소량이라도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면서 가장 먼저 달콤한 커피를 끊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AI) 산업 등을 떠올린다. 하지만 좀 더 포괄적으로 보면 소품종 다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의 전환을 생각할 수 있고, 이는 교육도 마찬가지다. 앞으로의 교육은 학교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이 아니라 개인의 진로와 능력에 따라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육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개정교육과정의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동물성 향료를 쓰긴 쉽지 않다. 동물 한 마리에서 얻을 수 있는 원료가 수~수십 g으로 극소량인 만큼 자칫 인간의 향료 욕심에 동물이 멸종될 수 있다. 그래서 이미 1970년대부터 사향노루와 사향고향이 등 동물에서 향료를 채집하는 일은 야생동물보호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 대신 전문가들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