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밀"(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거미와 친해지는 것이 목표예요. Q연우 친구의 꿈은 무엇인가요?아직 확실하진 않지만 세밀화가나 일러스트레이터가 되고 싶어요. 지금은 탐사에서 만난 생물들을 주로 그리며 짬짬이 캐릭터들을 만들고 있어요. 나중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사진 찍는 것도 관심을 갖고 있어요. Q ...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들 수 있는 완구입니다. 단순하게 쌓아 올릴 수 있는 직육면체의 간단한 블록부터 세밀한 표현이 가능한 것까지 종류가 다양합니다. 아마 ‘브릭’이라는 단어를 보고 ‘레고’를 떠올린 분들이 많을 겁니다. 레고는 본래 회사 이름인데요, 지금은 단추 모양의 돌기가 있어 여러 블록을 결합할 수 ...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돌입했습니다. 이때부터 탑을 해체하면서 3D 스캔으로 탑의 형상과 구조, 재료의 모양을 세밀하게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탑을 다시 쌓는 과정에서 탑의 형태와 재료를 결정할 때 3D 스캐닝 데이터를 참고했습니다. 그 결과 미륵사지 석탑은 과거의 흉물스런 모습이 아닌 자연스러운 탑의 모습을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코딩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명령어를 통해 일할 수 있도록 아주 세밀한 논리 단계를 쌓는 훈련”이라며 “학생들이 제대로 익힐 수 있도록 실습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모든 학생이 컴퓨터공학부의 ‘빡센’ 커리큘럼을 잘 따라가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다. 다리가 크고 긴 코끼리는 세세한 지형을 지나치므로, 개미가 세밀한 곳까지 다니며 거리를 재는 것보다는 전체 길이가 짧아진다고 여긴 것이다. 이처럼 똑같은 해안선이라도 어떤 자로 재는지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주 작은 자를 이용하면 해안선의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열심히 공부했어요. 지금은 신종을 찾겠단 욕심은 없고 구멍가게 주인처럼 저만의 세밀하고 재밌는 소일거리를 하며 만족하고 살려고 한답니다. Q 본격적으로 만화를 그린 계기가 있나요? 계기가 된 만화가 이에요. 등장인물이 열정적인 열혈 만화를 보면서 푹 빠지다 보니까 나도 ... ...
- AI 월드컵, 우승팀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위슬 팀의 공격수가 수비수를 제치고 골대로 향하는 상황은 이 팀이 전략을 얼마나 세밀하게 짜고 대비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라며 “우승팀인 만큼 코딩 수준이 매우 수준급”이라고 평가했어요. ● 딥러닝 기반의 강화학습이 비결! - 김우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박사과정) Q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끈기 있게 식물을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식물세밀화가는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로 적다고 해요. 작가님은 “학술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TV 예능프로그램 등 식물 그림을 원하는 곳은 생각보다 많다”고 얘기해 주셨어요. 산속 깊은 곳의 들꽃부터 길가의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있지 않아요. 그저 수많은 광물 중 하나일 뿐이지요. 다이아몬드가 빛나는 보석이 되려면 세밀하게 가공해야 한답니다.다이아몬드의 광채를 결정하는 건 ‘각도’예요. 빛은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들어갈 때, 경계면에서 빛의 진행 방향이 꺾여요. 이를 ‘빛의 굴절’이라고 하지요. 공기에서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첨단 항공기도 새에 못 미치고 있다. 특히 새는 순간적인 상황에 따라 깃털을 부위별로 세밀하게 조절하며 비행한다. 과학자들은 ‘완벽한 항공기’인 새를 모방하기 위해 새의 비행 방식과 날개, 깃털을 분석하는 생체모방 연구를 하고 있다. 시속 320km 송골매, 비행 제어 비결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