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회"(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사탐 박쥐 연구자, 류흥진 박사의 수상 소식을 전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6월, 박쥐를 연구하는 일본 교토대학교 사회정보학과 류흥진 박사가 ‘와일드라이프 어쿠스틱스’의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됐어요. 와일드라이프 어쿠스틱스는 야생의 소리를 모니터링하는 장비를 만드는 미국 기업이에요. 주로 박쥐나 새, 양서류 등 소리를 내는 야생동물 연구자를 해마다 ... ...
- [시사과학] 내 SNS 기록, 가족에게 상속할까? 말까? 디지털 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글을 공유하진 못하도록 했습니다. 고인의 정보가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미래사회IT연구소 김덕진 소장은 “한 번 데이터가 생성되면 온라인에 계속 남아 사후에도 사라지지 않는다”며 “자신의 디지털 유산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미리 계획하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무대에서 노래할 때 느끼는 행복이죠. 우리는 미디어에서 잠재력을 발휘하고 타인과 사회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어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내가 직접 동영상이나 웹툰을 만들어 공유하는 일은 상상만 해도 뿌듯하죠. 또 인터넷은 세상의 모든 지식과 정보를 알려주는 도서관이에요. 미디어를 통해 ... ...
- [JOB터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PIXAR 애니메이션 이채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다른 성질을 가진 원소들을 의인화해 어린 시절 이민자 가정에서 살며 느낀 점과 미국 사회의 다양성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설명했지요. 의 세계관을 영화로 만드는 건 제작진에게 어려운 미션이었어요. 불, 물, 공기, 흙으로 사실적이면서도 매력적이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 ...
- 전 세계는 보물 찾아 삼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상태”라며 “채굴 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아 상업적 채굴 행위는 국제 사회의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2021년 6월,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나우루공화국은 국제해저기구(ISA)에 “2년 안에 채굴 규정을 완성하라”고 요청했어요. 나우루공화국은 메탈스컴퍼니를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전 세계 사람을 이어주는 출발점이 됐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만든 인쇄기는 유럽 사회의 지식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계기가 됩니다. 이러한 세상을 바꾼 발명품은 호기심과 불편을 해결하려는 노력에서부터 시작됐는데요. 제44회 전국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 이상을 받은 1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집단이 어떤 정체성을 띠는지, 개인의 특성이 얼마나 일반적인지 유전체로 가늠하는 사회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땐 MBTI를 묻듯이 서로 유전체를 묻게 될 지 모르죠. 그 전에 유전체 연구와 활용에 대한 윤리적, 법적 고민이 이뤄져야 합니다.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이미 20년 전에 유전체 연구의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곳에서는 가뭄이 나타난다.변화는 빠르고, 적응은 느리다 이같은 기후변화에 대응해 사회와 제도를 바꾸는 것을 ‘기후적응’이라고 한다. 뉴욕에서도 기후적응은 쉬운 일이 아니다. 쏟아지는 비만큼 배수관을 늘리면 좋겠지만, 뉴욕시는 2021년 보고서 ‘THE NEW NORMAL’에서 배수관 용량을 2021년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설립 목적입니다. 11월 1일 오전, KAIST 실패연구소에서 학생들의 실패를 연구하는 사회심리학자 안혜정 교수를 만나 실패주간의 뒷이야기를 물었습니다. 그는 “실패 이야기는 성공한 사람들이 하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 내놓을 만한 성취가 없는 자신이 그런 이야기를 해도 될지 두려워하는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모이는 지점을 내쉬균형으로 정의합니다. 내쉬균형을 계산할 수 있으면 원하는 사회적 현상을 이루기 위한 개별 행동규칙을 설계하는 역방향의 접근도 가능합니다. 이번 연구는 비상 항공기에 길을 터주는 ‘응급도 관리’, 관제탑의 핵심인 ‘충돌 방지’ 기능의 분산형 관제시스템을 제안합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