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직물
명주
실크
양단
금란
린넨
무명
d라이브러리
"
비단
"(으)로 총 3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웃으면 눈이 사라지는 귀여운 얼굴이 호감이다.‘미남의 기준’이 달라진 건
비단
기자 혼자만은 아닌 같다. 5년 전 ‘국민 호감’이던 스타의 얼굴과 최근 ‘국민 스타’의 얼굴이 풍기는 이미지는 다르다. 인간의 뇌는 어떤 얼굴을 아름답다고 판단하는 걸까. 또 어떤 얼굴에 호감을 갖는 걸까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분야에 여성 인재가 적은 건
비단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보고 배우며 따라서 성장할 수 있는 롤모델만 가까이에 있어도 영감을 얻고 용기를 낼 수 있으리라. 진지하게 진로를 고민하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에 이런 롤모델을 만난다면 더할 나위 없다. 여기 서로 밀고 끌어주며 롤모델이 되기 위해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발효 능력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맛있는 한국 빵을 찾기 위한 연구팀의 노력은
비단
효모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연구팀은 ‘신맛이 나지 않는 사워도우’를 개발하고 있다. 반죽을 천연발효시키는 사워도우에는 효모뿐만 아니라 유산균이 들어 있어서 풍미가 훨씬 풍부하다. 하지만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굳이) 논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임현의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장은 “
비단
소프트로봇만의 문제는 아니다”라며 “예를 들어 최근 인공피부에 대한 논문이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데, 이를 시연할 때 고성능 컴퓨터나, 기본 가격이 1000만 원 이상인 정밀측정기기가 필요하다는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들은 ‘공순이’라는 호칭으로 비하 당하거나 차별을 받을 때가 많았습니다.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역사가 아닙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군수무기를 만드는 데 엄청난 수의 여성인력을 동원했습니다. “우리는 할 수 있다(We Can Do It)!”라고 적힌, 한 여성이 팔 근육을 내보이는 선전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암컷이 임신하는 빈도는 매우 낮다. 새끼를 낳더라도 양육은 대부분 실패한다. 심지어
비단
원숭이 무리에서는 서열이 낮은 암컷이 새끼를 낳으면 서열 1위인 암컷이 그 새끼를 살해하기도 한다. 흥미롭게도, 이 암컷들은 여자 형제인 경우가 많았다. 이 모든 과정의 정확한 원인과 기작은 아직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 나라에서도 기사로 많이 다뤄졌죠.하지만 하버드 비스 연구소가 잘 하는 분야는
비단
소프트 로봇만이 아닙니다. 최근에 인간 DNA 전체를 합성하겠다고 밝혀 화제가 된 조지 처치 하버드대 의대 교수가 비스 연구소 소속이고요, 인간의 실제 세포를 이용해서 폐와 같은 인체 장기를 모방한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애초에 단순히 에너지 절약으로만은 해결될 양이 아니다.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실이 아니다.과학자들은 기술로 이를 극복하려 한다. 신재생에너지원을 개발하거나, 동력의 효율을 높여 연료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여기에 또 한 가지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많다 보니 그 수가 모자라다. 그래서 야생에서 몰래 채집돼 암시장을 통해 거래되는 버마
비단
구렁이도 많다. 중국에서 이번에 적발된 7만여 점 중에도 야생개체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땅과 미래를 빼앗기다미국의 고퍼육지거북은 등딱지 길이가 약 30cm 되는 중간 크기의 거북이다(104쪽 사진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띠는 경우도 있다. 이런 동물들도 ‘실제로는 파랗지 않다’! 몰포나비의 날개나
비단
벌레의 등껍질 등을 가루로 빻으면 잿빛으로 변한다. 파란색을 내는 것이 색소가 아닌 광학적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파란 동물은 대부분 껍질이나 날개, 비늘에 있는 나노구조가 빛을 만나면 간섭과 회절 현상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