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최초의 실전 비행 성공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발사됐다. 누리호는 목표 고도 550km에서 목표 속도인 초속 7.58km로 인공위성 7기를 분리 및 사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누리호, 최초의 실전 비행 성공Part1. 누리호 화보Part2. 누리호 발사 3일의 현장Part3. [인포그래픽] 누리호가 우주로 실어보낸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홀로그램 방식으로 촬영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우선 레이저에서 나오는 하나의 광선을, 분리기를 이용해 두 개의 광선으로 나눕니다. 하나는 곰 인형을 비추는 물체광, 다른 하나는 거울에 반사되는 참조광이 됩니다. 물체광은 곰 인형에 반사되면서 물체파 파장을 만들고, 참조광은 물체파와 일정한 ... ...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장내미생물 연구는 배양 배지로 단일 미생물을 분리하거나 현미경으로 미생물을 직접 관찰하는 식으로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NGS)이 발전하면서, 장 속 모든 미생물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한 번에 해독해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방식이 ... ...
- [이달의 책] “과학은 나침반보다 집에 가깝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싶네요. 어떤 문제를 접해도 한 걸음 물러서서 모든 각도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이 분리가 제 두려움을 호기심으로 바꾸는 데 많은 도움이 됐어요.개성이란 당신이 스스로의 삶을 살기 위해 타인과 자신 사이의 경계선을 찾고 시험하는 것입니다. 이 개성은 타인을 외면하거나 ‘사회적 은둔자’가 ... ...
- [가상인터뷰]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3월 8일, 호주 모나시대학교 리스 그린터 연구팀은 이 세균으로부터 ‘후크’라는 효소를 분리해, 이 효소가 수소에서 전기 에너지를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어. 효소는 생체의 여러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단백질이야. Q. 효소가 전기 에너지를 만든다고?연구팀은 초저온 전자 현미경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분자는 독성이 있어 위험한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약을 만들 때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해서 필요 없는 쪽을 없애거나, 처음부터 필요한 쪽만 만들 수 있어야 하죠. 하지만 이는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화학자들은 유용한 이성질체 분자만을 합성할 수 있도록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위해 20초 간격을 두고 져스텍, 루미르, 카이로스페이스, 도요샛 1~4호기가 차례로 분리된 뒤 비행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그동안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며 많은 기술적 노하우를 축적했지만 아직 누리호 비행은 3번째에 불과하다”며 “3차 발사가 성공적인 결과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그러다 2017년에는 급기야 16~25세의 건강한 사람의 혈액에서 분리한 혈장을 판매하는 기업도 등장했습니다. 암브로시아라는 기업으로 ‘젊은 혈장’을 1L에 8000달러(약 1070만 원)에 판매했습니다. 의외로(?) 많은 고객을 유치했으나 2019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임상적으로 ...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잠시 뒤 우주선이 발사된다. 스타십에 연결돼 있던 1단 로켓 슈퍼 헤비는 발사 후 분리돼 지상으로 돌아간다. 다음 발사 때 재사용하기 위해서다. 스타십은 당신을 비롯한 150t의 화물을 싣고 계속 날아 지구 궤도에 도달한다. 지구 궤도에서 스타십은 재충전(?) 시간을 갖는다. 말 그대로다. 연료와 ... ...
- [과학사 극장]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 연구로 뛰어들었다. 마리 퀴리는 세심하면서도 철저한 실험이 중요한 방사성 원소 분리를 전담했고 피에르 퀴리는 대담한 이론적 가설을 세우는 일이 중요한 방사선 탐구를 맡는 식으로, 전략적으로 연구 분야를 나누었다. 초창기 방사능 연구자들 사이에선 이런 분업이 자주 눈에 띈다. 영국의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