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부분
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n이 무한대로 가면 이 모양이 극한으로 작아지면서 뾰족한
부분
만 남게 되는 프랙털 함수다. 즉 모든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해진다 ...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와르르 떨어지려고 한다. 그때 우리는 피자를 살짝 반으로 접는다. 그러면 늘어진 피자 앞
부분
이 똑바로 펴진다는 걸 안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우리가 자연스럽게 했던 이런 행동에 수학 원리가 담겨 있다. 피자 반죽이나 비닐봉지 같은 얇은 물체의 한쪽을 잡고 든다고 할 때, 한쪽이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이처럼 저는 누구나 결핍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둘이 만났을 때 그
부분
을 채워주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어요. Q. 이 작품을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요? ‘타디그레이드 피플’ 속 미래는 사이보그의 세상이 되면서 신체의 결함은 더 이상 문제가 ... ...
[이달의 과학사] 1915년 1월 5일 우유갑 특허 승인. 우유, 유리병이 아닌 종이에 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지붕처럼 뾰족하게 접어 밀봉했어요.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였죠. 손잡이
부분
을 양쪽으로 뜯으면 입을 대고 마실 수 있는 돌출부가 생기는 장점도 있어요. 워머가 발명한 우유갑은 1915년 1월 5일 특허 승인을 받았습니다. 우유갑 덕분에 사람들은 우유를 가벼운 용기에 담아 손쉽게 운반할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그러면 각질층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이나 뭉치는
부분
이 생겨 새로운 제품을 제대로 시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어요. 김병수 교수팀은 온도에 따라 액체와 겔 상태를 왔다 갔다 하는 젤라틴의 특징을 활용했습니다. 각질 세포를 젤라틴과 섞어 바이오잉크로 만든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발표했다. 이어 “패리터의 발견 이후 또 다른 참가자인 유세프 나데르가 패리터와 같은
부분
을 더 선명하게 읽는 데 성공했다”고 했다. 나데르는 독일 베를린자유대에서 데이터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이다. 패리터와 나데르에게는 각각 4만 달러와 1만 달러의 상금이 수여됐다. 패리터는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터치만으로 자동 채색이 된다. 원하는 색을 끌어다 원하는
부분
에 내려놓으면, 해당
부분
에 색이 칠해지고 그 주변부도 어울리는 색으로 채워진다. 생성 AI로 시간을 번 소혜 씨는 다른 취미생활을 해볼까, 행복한 고민을 한다. 이제는 AI 리터러시를 고민해야 할 때 생성 AI는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분산해 무지개색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관찰자가 빛을 가리고 서 있는 무지개 가운데
부분
에 관찰자의 그림자가 생기는 겁니다. 왜 하필 ‘브로켄’ 현상일까요? 이는 브로켄 현상이 독일의 브로켄산에서 자주 관측됐기 때문입니다. 둥근 무지개 안에 관찰자인 사람의 그림자가 겹쳐 보이는 장면은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증명>이라는 책을 썼고, 이 책은 우리나라에도 번역돼 있습니다.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은 명제의 증명(또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제는 참일 수도 있고 거짓일 수도 있어요. 그런데 어떤 명제가 참인지 아닌지 증명하는 것은 쉽지 않아요. 쉽게 할 수 있는 증명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 ...
[그래픽] 특명: 양자나노과학을 알려라!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 ESR-STM의 각
부분
을 직접 연구하고 있다. 구석구석 레고 대원을 따라가며 살펴보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