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뉴스]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빛에 반응하는 염료가 빛 에너지를 흡수해 전기를 만들어요. 기존의 염료감응 전지는
밝기
변화에 민감한 탓에 일정하게 전기를 생산하기 어려워 축전지에 전기를 저장했어요. 하지만 이 축전지는 저장용량이 적어 실제 생활에 적용하기 어려웠지요. 연구팀은 저장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평균 수’와 ‘은하 개수’의 곱으로 전체 빛의 양을 이용해 구합니다. 은하의
밝기
는 별
밝기
의 총합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은하에는 1000억~4000억 개의 별이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계산을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최솟값인 1000억 개로 가정하겠습니다. 허블우주망원경과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 술술 읽혀요10월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취소됐습니다.가을밤을 화려한 불꽃 아래에서 보내려 했던 막내 기자의 꿈은 신종 코로나바이 ... 색소는 인체가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방출하는 항체와 결합하며 빛을 냅니다. 이 빛의
밝기
를 측정하면 항체가 얼마나 많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47시간 동안 5640장의 사진을 찍었어. 연구팀은 이 사진들을 이용해 시간대별로 별의
밝기
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봤어. 그 결과, 시험 기준을 가뿐하게 통과하는 것을 확인했단다. 또, 나는 지구에서 320광년 떨어진 육분의자리에 있는 항성 ‘HD93396’과 그 주변을 도는 행성 ‘켈트-11b’를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밝게 나타나지만 바람에 의해 바다가 거칠게 변하거나, 해빙이 거울처럼 매끄러워지면
밝기
가 뒤바뀌기도 한다. 그래서 픽셀을 하나씩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해빙인지 바다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주변 픽셀과의 관계를 추가로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가령 특정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컴퓨터는 사진을 ‘픽셀’이라고 부르는 작은 정사각형의 조합으로 인식해요. 각 픽셀은
밝기
에 따라 0부터 255 사이의 값으로 표현되죠. 앞서 돋보기라 표현한 것 역시 ‘필터’라 불리는 정사각형 모양의 픽셀 모음이에요. 필터는 이미지 위를 움직이며 칸에 맞게 포갠 뒤, 필터와 사진의 픽셀에 ... ...
과학동아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5등급이니, 이대로 다가온다면 그 뒤를 이을 예정이지요. 5월에서 6월 사이에 최대
밝기
에 이른다고 하니 어과동 친구들도 기대해 보세요.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학자들이 화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우려했는데, 그것이 현실로 나타난 거죠. 이건 단순한 흰색 줄 몇 개가 아니에요. 별의
밝기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천문학자의 입장에선 치명적인 관측 오차를 가져다 줄 수 있답니다.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천체물리센터 조나단 맥도웰 연구원은 지난 3월 16일, “스타링크 위성이 해질녘과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것! 수많은 사진 속에서 초신성을 찾는 데에만 시간을 쓰면 발견한 뒤에는 실제 초신성의
밝기
가 이미 약해져 중요한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시민 천문학자가 관측 데이터를 보면서 초신성으로 추정되는 것을 골라내면 그것을 자세히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합니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다가오는 빛 앞으로 별이 지나가는 순간과 행성이 지나가는 순간 두 번 반짝이면서 빛의
밝기
를 기록한 그래프가 특이한 모양을 갖죠. [수동TV 초대석] 외계행성 찾는 이충욱 책임연구원 우리나라도 외계행성 찾기에 열심인데요, 한국천문연구원은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