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집"(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분자를 만나면 다시 강해지면서 연쇄 반응을 일으킨다. 닥터 디바이스를 우주함대가 밀집한 곳에 사용한다면 순식간에 모두 쓸어버릴 수 있다. 너무나 강한 나머지 지상에서 사용한다면 행성마저 모두 분해될지도 모른다. 그나마 ‘현실적인’ 우주무기가 있다면 반(反)물질(antimatter) 폭탄이다.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땅꺼짐은 총 4580회 발생했으며, 이중 서울에서만 3581건이 발생했다. 인구와 건물, 도로가 밀집된 서울에서 땅꺼짐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땅꺼짐 현상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은 하수도다. 5년간 하수도 손상으로 땅꺼짐이 발생한 횟수는 3027건으로 ... ...
- 美中 무역전쟁, 왜 하필 지금일까?과학동아 l2018년 09호
- -015041 오터 교수 등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저가 공산품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제조업이 밀집한 중서부 및 동남부 지역의 고용이 감소했으며, 그 규모는 직간접적으로 98만~200만 명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즉, 자유무역의 혜택보다는 피해가 더 강하게 느껴지는 지역에서는 자유무역에 대해 반감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을 정도로 매우 두꺼워요. 하지만 지구의 중력에 의해 99.9%의 대기는 약 50km 안쪽에 밀집되어 있지요.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건 대기가 있기 때문이에요. 먼저 대기에는 산소가 있어서 생물이 호흡할 수 있어요. 또 대기는 해로운 우주 방사선과 운석 충돌 등을 막아준답니다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알아내지 못했다.연구팀은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에 있는 그린뱅크망원경과 호주 밀집배열망원경(ATCA)을 이용해 이 빛을 보내는 세 개의 젊은 별을 정밀하게 관측했다. 그 결과, 별 표면의 분자와 수소가 반응하면서 나노 다이아몬드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브스 연구원은 “미세한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영화에서 군중 장면 컴퓨터그래픽(CG)을 만들 때 사용된다. 강 기획자는 “간격, 밀집도 등 미리 지정한 규칙에 따라 나무나 동물 등 자연물이 생성된다”며 “특정 동물이나 식물, 암석이 놓여 있는 모습이 직관적이고 개연성이 있게 보이는 게 듀랑고의 핵심기술”이라고 말했다. "듀랑고는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적은 편이다. 중소득층 지역은 주택에 뒤뜰이 많지는 않지만 연립주택처럼 집들이 밀집해 있고, 사람들이 공원이나 공용녹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또한 저소득층 지역에는 쥐나 고양이 같은 대체 먹잇감이 많은 반면, 고소득층 지역에서는 쥐나 고양이가 주된 흡혈 대상이 아니다. 정리하면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한 대전 대덕연구단지에서 차로 30분을 달리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신동지구가 나왔다. 흙바람이 날리는 허허벌판 한 가운데에서 공사가 한창이었다. 3년 뒤 이곳에는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연구시설로 불리는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들어선다. 5월 11일 ... ...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드론끼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보병 부대와 함께 이동해요. 동시에 고층 빌딩이 밀집된 지역에서 주변의 지형 정보를 제공해주고, 나아가 적의 갑작스런 공격을 알려 주는 역할도 할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일한 탄소 저장 도구입니다. 결국 화석 연료는 광합성을 기반으로 한 ‘고도로 밀집된 태양에너지’인 셈입니다. 인류는 수천만 년 전 식물이 축적해놓은 탄소 연료를 이용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구의 탄소 균형을 흔드는 결과도 가져왔습니다. 화석 연료를 소모하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