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확
명석
명백
d라이브러리
"
명쾌
"(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분명히 아름답게 존재하고 있다. 대부분의 현상이 극도로 복잡하긴 하지만 어느 정도
명쾌
한 물리법칙을 따라 진행되고 있어 보인다. 그런데 암흑에너지는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정체를 알 수가 없다. 그리고 우주의 운명을 좌지우지 한다. 덮어 놓고 지나갈 수가 없다는 말이다. 아직 나를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세계를 만나 보자!사격과 양궁은 모두 이산 함수!사격과 양궁은 선수들의 실력에 따라
명쾌
하게 승부가 결정되는 기록경기다. 이번 올림픽에서 여러 번 논란이 됐던 유도나 펜싱 경기처럼 심판의 판정에 따라 결과가 뒤바뀔 수 있는 판정경기와는 성격이 다르다.특히 사격과 양궁은 승부를 예측하기 ... ...
[8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다. 그러나 궁금해 할 법한 내용을 주제와 소재로 삼고 이를 지식과 연결해 비교적
명쾌
하게 설명해 주는 글을 쓴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기사를 작성할 때 시간 제약이 많아서일 수도 있겠지만 실제 자이로드롭의 그림을 그려서 어떤 부분이 반자성체로 ... ...
[시사] 수학이 톡톡! 토크 콘서트가 열리다!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되지’ 이런 말을 들어요. 그럴 때 할 말이 없었는데, 이젠 수학이 복잡한 현상도 단순
명쾌
하게 답할 수 있게 돕는다고 말해 줘야겠어요.”난 셜록 홈즈형일까? CSI형일까?“아나운서는 말로 다른 사람을 설득해야 할 때가 많아요. 그런데 수학적 사고를 사용해 설명하면 설득에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호기심이 생기지만 딱 거기까지다. 다시 말해 호기심 자극에는 성공했지만 그 호기심을
명쾌
하게 풀어주지 못했다. 생활 속 소재에서 음파와 진동의 원리를 이끌어 내 호기심을 자극했다면 풀어줘야 한다. 배성환 군의 기사와 김두영 양의 기사를 반반씩 합치면 읽기도 편하고 과학적인 사실도 다룬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한 마디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았다.그런데 강사가 한 설명에 눈이 번쩍 뜨였다. 정말
명쾌
하고 과학적이었기 때문이다. “세상에 물질이 유한하다고 가정해 봐요. 대신 공간이나시간이 무한하죠. 그렇다면 이 세상이 어딘가 또는 어느 순간 지금과 똑같은 모습으로 반복될 수밖에 없지 않겠어요?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루스 씨는 한국에서 온 기자단에게 스위스가 ‘바다엑스포’에 참가하는 이유를
명쾌
하게 설명했다. 스위스 파빌리온은 이번 엑스포에서 빙하와 강, 호수를 깨끗하게 지키는 시민의식과 과학적인 노하우를 소개할 예정이다.염소 대신 물벼룩 넣어 만든 식수스위스의 물은 깨끗하고 맑기로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언제나
명쾌
하게 경기를 전달하는 ‘
명쾌
해’ 캐스터입니다. 저는 지금 프로야구 결승전이 열리는 ‘노파돔 야구장’에 나와 있습니다. 총 일곱 번 대결해서 네 번을 먼저 이기는 팀이 우승하는 한국시리즈의 마지막 승부가 곧 시작될 예정입니다. 양팀 모두 3승 3패씩을 나눠 가진 뒤 펼치는 마지막 ... ...
Intro. 70가지 애매한 과학질문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느끼는 애매한 상황을
명쾌
하게 정리해 주니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애매한 걸
명쾌
하게 정해주는 거라면 과학이 또 일가견이 있지 않은가. 그래서 특별히 초빙했다. 과학애정남! 애매한 질문을 과학적으로 확실히 정해 보자.“오늘 애매한 거 확 다 정해 보는 겁니다~ 잉!”▼관련기사를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을 확률과 죽어 있을 확률이 반반’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뿐이기 때문이다. 이런
명쾌
함 때문에 현재 코펜하겐 해석은 양자역학 이론가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비판도 있다.약한상호작용과 전자기력을 통합한 ‘대통일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스티븐 와인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