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작동하는지 알아냈다. doi: 10.1038/s42003-020-0902-8연구팀은 유전자 변형으로 잠을 적게 자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이용했다. 이 초파리는 주변 기온이 21도일 때보다 29도일 때 잠을 더 많이 잤다. 연구팀은 주변 기온을 조절하면서 온도에 따른 초파리의 뇌 영상을 촬영했다. 그 결과, 기온이 올라가면 가바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구할 수 있었죠.문제는 세균도 진화한다는 거예요. 항생제를 계속 쓰다 보면 일부 세균이
돌연변이
등으로 항생제를 이겨내는 ‘내성’을 갖게 돼요. 그중 모든 항생제를 이겨내는 세균을 ‘슈퍼버그’라 부르지요. 슈퍼버그는 강한 생존력을 바탕으로 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어요. 항생제를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의 RNA를 DNA로 역전사한 후 숙주의 DNA에 들어가 증식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돌연변이
를 만들어낸다. 무엇보다 HIV는 우리 몸을 지키는 병사인 면역세포를 숙주로 삼아 파괴해 독종 바이러스로 취급된다. 특히 CD4를 수용체로 가진 면역세포인 T림프구를 감염시키거나 파괴한다. 정상인의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RNA로도 저장하고 있다. 또 RNA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돌연변이
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는 곧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세균성 질병보다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더불어 평균적으로 세균은 0.5μm(마이크로미터·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몸의 면역시스템은 모두가 갖고 있지만, 성능에서는 개인차가 매우 크다. 일부는 유전자
돌연변이
로 면역세포나 관련 신호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 등은 매년 새로운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매우 활발하게
돌연변이
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항원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그나마 항원 부위의 변화가 조금씩 천천히 일어난 결과다. 이를 항원소변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2009년 발생한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에 대응할 백신과 바이러스를 물리칠 치료제도 개발됐다. 하지만 바이러스도
돌연변이
라는 전략을 앞세워 바뀐 환경에 적응하며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위세를 과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만만한 상대로 여겼던 코로나바이러스는 21세기에만 무려 세 번이나 모습을 바꿔 인류를 위협하고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냈다.그럼에도 백신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인류를 무섭게 위협해 왔고, 그 위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 전 세계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높은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변형을 일으키는 유전자 조작법을 주로 쓴다.유전자를 조작한 바이러스는 이론적으로
돌연변이
를 일으켜 다시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생백신에 사용되는 바이러스는 배양횟수를 제한해 안전성을 확보한다.사백신은 바이러스에 포르말린 같은 화학물질을 처리하거나, 배양 환경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