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둑
제방
강둑
방죽
d라이브러리
"
댐
"(으)로 총 246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통째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도 있어요. 도로와 상하수도 기반시설을 설치하고, 다리와
댐
을 만들면서 그 지역에서 30년 간 사업권을 확보하는 식이지요.”김 교수는 건축과 건설의 차이점을 명쾌하게 설명했다. 대형건설사업의 경우 투자비를 언제 어떻게 회수할 수 있을지 계산하는 것도 중요해서,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미국에서 두 번째로 거대한 인공호수인 ‘파웰 호수’가 있다. 글렌 캐니언에 있는
댐
공사를 마무리하고 물을 다 채우는 데만 약 16년이 걸렸다.회색 돌과 드문드문 자라난 관목 사이로 거대한 호수가 덩그러니 있는 풍경은 상당히 낯설다. 한국이라면 나무로 덮인 산이 호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고민 끝에 바위를 선택했다. 생활과 바람을 그림으로 새겨 표현한 암각화다. 최근 투명
댐
설치 추진으로 관심을 모은 울산광역시 반구대 암각화도 그 중 하나다.국보 제258호로 지정된 이 암각화는 그림이 집중적으로 새겨진 암면의 너비가 약 10m고 높이는 약 3m다. 국립문화재연구소와 울산대학교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문화재가 파괴될 위험에 처한 건 우리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니에요. 1960년 이집트에서는
댐
건설로 고대 이집트 아부심벨 신전이 수몰위기에 빠졌어요. 그러자 세계적으로 가치 있는 문화유산을 보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죠. 이 일을 계기로 1972년 유네스코에서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자꾸 달라지는 것이 느껴졌어요. 그물 치고 물고기를 잡을 정도로 물이 맑았던 곳은
댐
같은 것이 생기면서 아예 사람들이 근처에도 가지 못하게 바뀌었고. 다람쥐도 예전처럼 볼 수가 없더라고요. 너무 안타까웠어요. 그리고 지켜주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어요.”리나 양은 그길로 환경을 살리는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말했다.시기도 의문이다. 공교롭게도 4대강 공사 완료 시점(작년 10월 말)직후다. 보 역시
댐
과 마찬가지로 물을 가두는 시설로 체류시간을 늘린다. 여러 연구자들이 4대강 보가 이번 녹조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는 이유다.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조사와 측정이 이뤄져야 한다.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생겼다.[➊ 인공 싱크홀. 홍수에 대비해 만든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몬티셀로
댐
이다. 높이 21.6m에 폭이 8.4m다. 초당 1370m3의 물이 빨려들어간다.] [➋ 이 구멍은 약 1450만 캐럿에 달하는 다이아몬드가 나온 다이아몬드 광산이다. 1871년, 이 작은 언덕 위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몇 개월 만에 ... ...
통합과학 -
댐
으로 배우는 과학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자연재해 앞에서 인간은 한없이 무력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축적된 과학기술의 힘을 빌려 예고된 재앙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기도 한다. 현재 세계에는 각 나라의 자연환경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댐
이 지어져있다. 이런
댐
은 우리의 생활에 큰 도움을 준다.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시행했다.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 경제의 흐름을 바꾼 것이다.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댐
이나 철도를 짓고,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복지 정책을 펼쳐 경제 위기를 극복했다.시장이 스스로 균형을 찾는다는 가설은 깨졌지만, 마샬이 만든 수요공급곡선은 여전히 수요와 가격을 판단하는 유용한 도구다.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교통공학은 효율적인 교통 체계 구축과 교통문제 해결 방법을, 구조공학은 다리·발전소·
댐
등 사회기반시설을 설계하는 방법을 배운다. 도시설계 및 계획은 도시의 여러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해결하는 방법, 수공학은 다양한 수자원 문제를 공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 지반공학은 땅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