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트"(으)로 총 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 새는 어떻게 날까?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내가 방금까지 열심히 보고 있던 게 뭔지 알아? 바로 내가 만든 새 도감이야! 무인 비행체를 만들기 위해 날개 유형이 다른 새 4마리를 샅샅이 조사했거든. 날개가 어떤 특징을 가져야 상황에 따라 재빠르게 움직이고 대처하는 ‘기동성’이 있는 걸까? 빠르게 솟아오르는 꿩 / Phasianus colchicus 날 ... ...
- [에디터 노트] 실패한 밸런스와 경고등과학동아 l2022년 11호
- “10월호 밸런스 조절 실패 사과드립니다.”저는 10월 11일, 전지적 독자위원회 밴드에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독자위원들이 10월호 기사평가를 마친 직후였습니다. 9월호와 달리 10월호 기사평가 결과에는 부정적인 평가가 여럿 포함돼 있었습니다. 특히 ‘환경 주제 쏠림’에 대해 여러 독자위원들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수첩으로 변신!과자봉지로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수첩을 만들었어요. 직접 만든 노트가 멋지지 않나요? 줍깅탐사 김시은 기자학교 주변을 깨끗이!학교 주변의 쓰레기를 주웠어요. 페트병, 비닐, 담배꽁초 등이 버려져 있었어요. 깨끗한 환경을 위해서 모두 함께 노력하면 좋겠어요! 따분행 ... ...
- [기획] 수학과 생물학이 만났다! 하늘의 새 빼닮은 비행체 제작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안녕, 나는 새와 비행기에 푹 빠져 있는 하늘이야. 아주 어릴 적엔 새처럼 하늘을 날고 싶다는 순수한 꿈을 꿨어. 지금은 새를 닮은 무인 비행체를 만드는 ... Part2.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Part3.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새들의 기동성에 대해서는 수백 년 동안 밝혀진 게 거의 없었어. 그런데 최근 그 비밀이 밝혀졌대! 크리스티나 하비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새들이 기동성을 갖기 위해 언제, 어떻게 날개 모양을 바꾸는지를 연구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3월 9일자에 발표했 ... ...
- [에디터노트] 그대와 함께 한 달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 달 새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8월 18일 전지적 독자위원회 밴드방이 문을 열었습니다. 오픈하자마자 10월호 표지 선정 투표를 온라인으로 진행했죠.기자들이 만든 기획안은 5개. 후보 주제를 놓고 독자들은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기후 부동산과 인공중력 기술이 치열하게 경합했죠. 저는 선거 ... ...
- 과학덕후들의 전국~ 노트 자랑!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노트 정리에 진심인 과학덕후들이 이렇게 많았다니, 깜짝 놀랐습니다. 과학동아가 문구 브랜드 ‘모트모트’와 함께 출시한 ‘과학덕후 세트’ ... 후기가 속속 도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중 몇 가지를 골라 소개해드립니다. 다른 과학덕후들의 노트 정리를 살펴보며 공부 팁도 얻어가세요!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각도 더하고 빼며 체력 키우자!Part2. 수콤달콤 놀이공원Part3.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각을 알면 재밌는 삼각형 그리기!Part4.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각도의 합과 차’로 다각형의 비밀을 풀어라!Part5.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칠교놀이로 각도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각을 알면 재밌는 삼각형 그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각에 대해서 열심히 공부해 보았나요? 주어진 각을 재보는 것도 좋지만, 우리가 직접 그려보는 것도 재미있어요. 연필, 자, 컴퍼스, 각도기만 있으면 원하는 삼각형을 얼마든지 그릴 수 있답니다! ...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벌써 12년 전이군요. 2010년 1월, 과학동아는 제1기 독자위원회를 모집합니다. 과학동아의 새로운 시도에 다양한 연령대의 독자가 지원합니다. 선발된 독자위원 10명 중에는 대학교 3학년 학생도 있었습니다. 당시는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도 별로 없을 때였습니다. 독자위원들은 세 달에 한 번씩 서울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