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자
체내기관
내포
내복
포함
함축
뱃속
d라이브러리
"
내장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치는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어. ●미주 신경 : 뇌에서 나오는 12쌍의 신경 중 10번째로,
내장
대부분에 연결된 신경. 일리 : 그런데 너희들은 왜 사람의 기분을 바꾸는 거야?장내미생물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장내미생물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람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조작한다고 생각했어. 예를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때문에 사진을 찍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팀은 세포 배양시스템과 레이저가
내장
된 새로운 현미경을 개발해 이를 해결했다.켈러 교수는 “초박형 레이저 광선을 사용해 세포를 촬영하기 때문에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31신용수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아니라 이미지 기반의 광학 항법을 함께 사용한 것입니다. 하야부사2에는
내장
카메라와 ‘라이다(LIDAR)’라는 레이저 고도계가 탑재돼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에서 류구를 촬영했습니다. 이렇게 촬영한 사진에는 류구 외에 주위의 별까지 함께 찍혀 있습니다. 바로 이 배경 속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하지만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면 이동통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위성항법 수신기가
내장
된 단말기만 가지고 있으면 무료로 재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활용 범위가 훨씬 넓은 셈이다. 갈릴레오도 기존의 위성 기반 긴급구난 서비스(Cospas-Sarsat)와 연동해 구조를 기다리는 사람에게 구조신호 접수 ... ...
[Tech] ‘선 없는 세상’ 의 마지막 퍼즐 무선 이어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SSC 코덱을 이용하려면 무선 이어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에도 같은 코덱이
내장
돼 있어야 한다. 전자기 유도로 동기화 문제 해결 무선 이어폰이 ‘연결’이라는 벽을 넘어서면 또 다른 벽이 기다리고 있다. 바로 ‘동기화’다. 유선 이어폰과 달리 무선 이어폰은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레너)가 착용한 스마트 렌즈도 흥미롭다. 브랜트의 스마트 렌즈는 초소형 컴퓨터가
내장
돼 렌즈를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은 물론, 눈을 깜박여 촬영한 사진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랜트가 마블의 ‘어벤저스’ 시리즈에서는 호크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 연결고리가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추정한다. 동물 사체는 시간이 지나면 뼈처럼 단단한 부위는 화석으로 남지만, 근육이나
내장
, 눈알처럼 부드러운 부분은 썩어 없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식공룡에서 깃털의 존재를 주장하는 이유는 화석에 깃털 자국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공룡의 깃털 화석은 몸 색깔을 추정하는 단서도 ... ...
[과학뉴스] 육식동물 판다가 초식동물이 된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동물인 판다는 과거엔 육식동물이었어요. 날카로운 이빨과 고기를 부수기 위해 만들어진
내장
기관이 이를 증명하지요. 지금의 판다도 종종 작은 동물을 잡아먹곤 한답니다. 하지만 약 700만 년 전부터 판다는 대나무를 먹기 시작했어요. 그러면서 점점 몸의 특성이 바뀌었지요. 지난 1월 ... ...
[Issue] 다이어트? 굶는 건 절대 안 돼요~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뇌 시상하부에 도달해 음식을 먹으라고 명령을 내립니다. 반대로 배가 부르면
내장
지방에서 분비된 렙틴이 뇌로 가서 그만 먹으라고 명령하죠. 이것이 영양공급과 포만감을 조절하는 ‘항상성’ 기전입니다. 그러나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반복하는 사람은 이런 과정을 무시한 채 불규칙하게 굶거나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3대 영양소로 꼽혀요. 근육과
내장
, 뼈와 피부 등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물질이지요. 이뿐만 아니라 소화와 면역 등 몸에서 일어나는 각종 화학 반응을 담당하기도 해요. 이렇게 중요한 단백질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과학자 ‘게라르두스 뮐더’예요. 그는 1838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