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수학체험실] 아이스크림 스쿱마켓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mL), 리터(L)는 미터법의 단위지요. 전 세계에서 미국, 라이베리아, 미얀마를 제외한 모든 나라는 미터법을 사용하고, 영국은 미터법과 야드 파운드법을 함께 사용해요. 자! 그럼, 이제 스쿱 마켓에서 아이스크림을 퍼 볼까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 알차게 즐기는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후기를 디지털 기기로 미리 살펴본 뒤, 내 취향에 딱 맞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또 그 나라의 언어를 몰라도 번역기 앱이 있다면 현지인과 충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아주 낯선 곳에서도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어요. 이번 시간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로 여행을 계획하고 ... ...
- 달 남극, 내후년엔 사람이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2020년대 후반까지 달 남극에 우주인이 머물 수 있는 기지를 설치한다는 계획이에요. 우리나라 또한 NASA와 함께 아르테미스 미션에 참여해 2024년 달 탐사선에 달 표면의 입자를 분석할 ’LUSEM’을 함께 실어 보낼 예정입니다. 달 기지에서 우주인이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NASA는 달에서의 산소 및 연료 ... ...
- [숫자로 보는 뉴스] 꿀잠 자고 싶다면 많이 걸으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나라에 사는 사람일수록 잠드는 시각이 더 늦었고, 질서나 규칙이 덜 엄격하고 너그러운 나라에 사는 사람일수록 잠드는 시각이 더 빨랐어요. 연구를 이끈 차미영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는 “적절한 수면은 건강이나 행복과도 관련돼 있어요. 모든 사람이 더 잘 자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가 함께 ... ...
- 기자의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은 어과동에서 엄선한 4개 과학관과 3가지 단체활동으로 구성됐어. 파주나비나라박물관, 조명박물관,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박물관은살아있다다이나믹메이즈에서 지도를 들고 재미있게 취재 미션을 수행하다 보면, 각 과학관, 박물관의 핵심 전시물들을 파악할 수 있지. 여기서 잠깐! ... ...
- [출동, 슈퍼M] 추석 날짜는 왜 해마다 달라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공휴일’이에요. 공휴일은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쉬기로 지정한 날을 의미하지요. 우리나라의 공휴일은 일요일, 신정, 설날(구정절, 부처님 오신 날, 어린이날, 현충일, 광복절, 추석, 개천절, 한글날, 크리스마스, 그리고 각종 선거투표일이에요. 매주 돌아오는 일요일과 몇 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떴다 떴다 비행기~ 하늘냐옹으로 날아봐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도착지는 하늘냐옹입니다! 땅 나라부터 하늘냐옹까지 안전하게 올라갈 수 있는 비행기가 생겼어요. 빨대로 바람을 불어 비행기를 날리고, 날아간 거리를 ‘비행 기록표’에 적어 봐요! 하늘냐옹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하늘냐옹 공항에는 비행기가 날아간 거리를 적는 비행 기록표가 있어요. 빨대 ... ...
- 채소를 배달하라! 콩나무 기르기 대작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콩나무가 그만 부러지고 만 거예요. ‘길이길이 남을 채소가게’를 운영하는 측냥이는 땅나라에 채소 배달을 서둘러 가야 했기에, 직접 콩나무를 길러 땅으로 내려가야겠다고 생각했지요. 측냥이는 먼저 싱싱한 채소들을 튼튼하게 포장했어요. 채소를 가득 담은 상자를 들고 가게 안으로 ... ...
- 먼 거리는 킬로미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라는 단위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 km는 m의 1000배인 길이예요. 도시와 도시, 나라와 나라 사이의 거리를 말할 때는 km를 쓰면 편리해요.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거리를 m로 나타내면 약 32만 5430m이지만, km로는 325.43km라고 간단히 적을 수 있지요. 지구의 지름도 km를 써서 나타내요. 적도★를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정해지기 전까지는 나라마다 각기 다른 기준으로 길이를 측정했어요.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의 교류가 점점 늘면서 단위가 달라서 혼란이 생기기 시작했지요. 과학자들은 언제, 어디서, 누가 재더라도 똑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단위를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1791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