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유
원인
근거
연유
동기
사유
형편
d라이브러리
"
까닭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내 똥이 ‘약’이 되는 똥 이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다른 사람이 싼 똥을 장에다가 이식하겠다는 걸까. 이 발칙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
까닭
은 현대의학 기술로도 손 댈 수 없을 만큼 치명적인 장염을 잡기 위해서였다. 상한 음식을 먹으면 그 안에 있던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독성물질이 장에서 염증을 일으킨다. 그런데 원래 몸속에 살고 있던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않았다. 보기엔 화려하지만, 형편없이 비효율적인 무기인 사슴뿔 같은 기관이 진화한
까닭
을 개체 선택론으로 설명할 수는 없을까? 마침 프라이스에게는 이 문제를 풀 단서를 알려줄 사람이 있었다. 게임 이론을 진화생물학에 도입한 논문을 막 출간한 해밀턴이었다.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방금 우리가 탄 차가 쌍곡 평면에 접어 들었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 동네는 우리가 사는 동네와 무척 달라. 친구 집 까지 가는 동안 들어 ... 정삼각형을 그리려고 해도 내각의 합이 180°를 넘는 것처럼, 쌍곡 평면이 휘고 뒤틀린
까닭
에 그 위에 그린 정육각형의 한 내각이 작아질 수 있어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있는 것이다. 같은 것을 보고도 생각이 다르다. 사람 사이에 갈등과 스트레스가 생기는
까닭
이다.쓸데없는 ‘사진’을 버려라그렇다면 뇌에 어떤 정보를 입력하느냐에 따라 사람의 행동도 달라질 수 있을까. 최근 미국 워싱턴대 컴퓨터공학과 연구팀은 한 사람의 뇌파 정보를 다른 사람의 뇌에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옛날 옛적, 한 청년이 유산으로 고양이 한 마리를 받았다. 청년은 형편이 어려워서 고양이를 남의 집에 맡기려고 했다. 그러자 고양이가 갑자기 말을 하더니 “장화를 사 ...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도 한 세계 해석보다 많은 세계 해석이 더 그럴듯하다고 생각할
까닭
이 있을까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대표적인 질병이 ‘엔젤만 증후군’ 입니다. 주된 증세는 지적 장애, 발달 장애지만
까닭
없이 웃고 얼굴이 어려 보이게 바뀌는 독특한 증상도 보여 ‘행복한 꼭두각시’ 증후군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병의 근원은 15번째 염색체에 위치한 ‘UBE3A’ 유전자의 결실 때문입니다. 유비퀴틴 연결효소(E3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들었다. 에머슨은 노화가 이로운 형질이라고 주장했다. 우리가 늙으면 병약해져 죽는
까닭
은 창창한 청년들에게 자리를 양보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에머슨은 진화학자를 자처했지만, 노화에 대한 그의 설명은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과 모순된다고 윌리엄스는 확신했다. 자연 선택 이론은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신경계가 불타오른다 (사실은 접속과 동시에 혈관에 각종 각성제와 흥분제가 투여된
까닭
이다). 노인과 아줌마를 뒤쫓는 괴물들에게 어깨 위의 주포에서 120mm 열화우라늄탄을 아광속으로 발사한다. 껍질이 으깨지고 체액이 기화한다. 등 뒤에서도 괴물들이 달려들지만 장갑판을 두른 외골격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화성과 목성 중간에 있으며 지름이 3.5km에 불과한 소행성입니다. 이렇게 작은
까닭
에 잘 보이지 않아 1991년이 돼서야 발견됐습니다. 1991년은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해이기도 하지요.메이는 음악을 할 때도 물리학도의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무슨 소리냐고요? 이 노래를 들어보시죠! 퀸의 네 번째 앨범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계산 속도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에 따라 전력 소모량도 절약된다.그런
까닭
에 1940~1950년대 컴퓨터과학자들은 2진법 컴퓨터를 개발하면서 3진법 컴퓨터에도 눈을 돌렸다.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의 컴퓨터과학자 니콜라이 브루센트소프와 수학자 세르게이 소볼레프는 1958년 ‘세툰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