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릇"(으)로 총 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들은 각 지역 음악가가 발전시켜주길 바라요! ● 인터뷰 ② "사투리는 문화를 담는 그릇이에요!"최현애 (도서출판 이팝 대표) Q가 무엇인가요?‘애린’은 ‘어린’의 경상도 사투리예요. 는 프랑스의 소설가 생텍쥐페리의 단편 소설 전문을 제가 살던 ...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데이터를 가득 채운다면 2.5x10-25kg 정도의 질량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담는 그릇에 따라 데이터도 무게 있어질량-에너지-정보 등가 이론은 아주 그럴듯한 이론이지만, 하나 문제가 있습니다. 실제로 데이터에 무게가 존재할 수 있는지 아직 측정을 통해 증명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 정도의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아닌가? 목줄을 맨 개를 억지로 질질 끌고 가는 것은 폭력인가? 길고양이 사료인 듯한 그릇에 담배꽁초를 버리고 침을 뱉는 행위는 위험인가? 동물이 든 박스를 골목길 구석에 내려놓고 도망가는 행위는 폭력인가? 그렇지만 그런 애매한 상황들이 저화질 영상을 지켜보는 걸 그만두게 만든 결정적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먹게 해주는 우리우리스 게임의 규칙에 따라 고양이는 지구에서 구해 온 따뜻한 우유 한 그릇과 참치캔 하나를 먹게 됐다. 혹시라도 게임 중에 음식이 부족할까 봐 경기장 한 켠에는 우유와 참치캔이 들어 있는 상자가 아예 거대한 무더기처럼 쌓여 있었다.만족스럽게 식사를 즐긴 고양이는 곧 9만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뒤 껍질을 잘 말리면 불 피울 때 아주 좋은 땔감이 되기도 하고 반을 자르면 좋은 밥그릇이 되기도 하거든요. 물론 바다에서 직접 물고기를 잡아 꼬치구이를 만들어 먹기도 해요. 우리나라 무인도에선 바지락이나 낙지를 잡아먹어요. 새벽녘에 갯벌로 나가보면, 밀물 때 갯벌까지 들어왔다가 썰물 때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질연구센터팀이 지난해 1월부터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7km 직경의 그릇 모양 지형인 적중-초계분지를 현장 조사한 결과였지요. 비밀은 땅속에 있었어요. 연구팀은 땅속 142m 깊이를 시추 조사하고,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했어요. 그 결과 이곳이 약 5만 년 전에 운석이 충돌하며 생긴 곳임을 ...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곳을 지나가 본 사람은 ‘이상한 분지가 있네’하며 갸우뚱했을 것이다. 여러 산이 그릇 모양의 평평한 대지를 품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다. 이 분지가 어떻게 탄생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었다. 분지 내부에 관입해 있던 화강암이 차별침식으로 사라지며 분지가 생성됐다는 ... ...
- [만화뉴스] 축구공? 주사위? 정답은 분자 그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크기는 5.3nm(나노미터, 10-9m)로, 지금까지 보고된 분자 그릇 중 가장 커요. 기존 분자 그릇은 보통 2nm 이하였지요. 연구에 참여한 김기문 IBS 단장은 “약물을 담아 체내 전달하는 운반체나 광촉매 등 분자 주령구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젤리를 마음껏 먹고 싶던 섭섭박사님은 젤리 크기를 키우기로 결심했어요! 그런데 왜 그릇에 물을 받아오시는 거죠? ➊ 컵 세 개에 물을 넣는다. 이 중 두 개의 컵에는 각각 소금과 설탕을 한 스푼씩 녹인다.➋ 생수, 소금물, 설탕물이 담긴 컵에 젤리를 한 개씩 넣는다.➌ 8시간 정도가 지난 후,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만분의 1인 플라스마의 체감온도는 1만℃쯤 된다.1만 ℃나 되는 온도를 버틸 수 있는 그릇은 흔치 않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아무리 뜨거워져도 녹지 않는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담는 묘책을 떠올렸다. 플라스마는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인 만큼 전하를 띠고 있다. 따라서 전하에 강력한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