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군"(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학생들의 손으로 시각화돼 교과서에서 접하던 해양데이터 그래프로 재탄생했다. 이 군은 “국내 해양데이터가 정리돼 있는 사이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찾아보고 그래프를 그려본 것이 기억에 남는다”며 “해양 연구와 관련된 분야로 진로를 고민해 보게 된 좋은 계기였다”고 했다 ... ...
- [이달의 우주 날씨] 가을철 별자리와 이웃 은하 이야기!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허리 부근에서 뿌옇게 빛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 옆에는 국부은하군에서 세 번째로 큰 은하인 삼각형자리 은하(M33)가 있어요. 삼각형자리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작고 어둡지만, 구경이 큰 천체망원경으로 충분히 관측할 수 있답니다. 이번 가을에는 신화 속 주인공과 그와 관련된 ... ...
- [이달의 수학자] 군론의 아버지, 에바리스트 갈루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의해 체계적으로 기초가 다져지면서 19세기 말에는 독립적인 수학 분야로 발전하게 됐죠. 군론은 현재 수학뿐만 아니라 물리학, 화학 같은 분야에서도 응용돼 쓰이고 있습니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해롱 선장과 페가수스 선장이 라이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오오, 로셀리나가 손수 쓴 편지인가요? 편지지가 축축한 게 눈물을 쏟으며 쓴 것 같군요. 비록 종이가 젖어서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글자가 번졌지만, 당신의 사랑은 이 편지의 향기에 담겨 있는 것 같구료! 내가 잘못했소. 기다리시오, 로셀리나!”디프레는 딱지의 콧물에 젖어 축축한 편지지를 ... ...
- [이달의 수학자] 무명 수학자에서 수학자의 영광이 되다, 닐스 헨리크 아벨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임의의 원소 a, b와 임의의 연산 *이 있을 때 a*b=b*a처럼 교환 법칙이 성립하는 군을 아벨 군이라 합니다. 그 외에도 아벨 방정식, 아벨 적분, 아벨 함수, 아벨 다양체 등 무수히 많죠. 하지만 아벨은 생전에 빛을 보지 못하다가 1829년 4월 6일 만 26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이런 ... ...
- 팬데믹 시대, 정의로운 모빌리티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1918년 3월 미국 시카고의 군기지에서 첫 환자가 나온 후에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군을 따라 유럽으로, 그리고 전 세계로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모빌리티 가속화로 팬데믹은 어느 때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시적 위험이 됐다. 2020년 3월 토마스 프리드먼 미국 뉴욕타임스 칼럼리스트는 인류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9화. 상반기 결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작성하지 못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너무 어려워 진도가 더디게 나가고 있습니다. 자유군은 여전히 너무나 신비로운 존재고요. ‘수학로그 기사 더 재밌게 쓰기’는 잘하고 있는 걸까요? 판단은 독자 여러분께 맡기겠습니다그래도 아직 6개월이 남아 있는 만큼, 2021년 하반기에는 새해 다짐을 이룰 ... ...
- [과동프렌즈] 만유인력의 법칙 이해하려 뉴턴 인생사까지 들여다봤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말했다.마지막으로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덧붙였다. 김 군은 “과학자들이 어떤 생각으로 이 공식을 만들었는지 본질적인 내용을 알고 나니 이해가 됐다”며 “암모니아 제조법을 만든 과학자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의 삶을 다룬 책 ‘공기의 연금술’을 읽고 비로소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면추이(Isohedral) 다면체라고 부릅니다. 군론의 시각에서 면추이 다면체를 정의하면, 군의 작용을 통해 한 면을 다른 면으로 돌렸을 때 모든 면과 모서리가 포개지는 도형을 의미합니다. 정팔면체 같은 쌍각뿔, 십면체 같은 엇쌍각뿔 형태의 주사위가 면추이 다면체의 대표적인 예입니다.혹시 지금까지 ...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또는 외래종이라고 한다. 지난해 미국과 덴마크 공동연구팀이 전 세계 410개의 생태계 군에서 약 5000종의 동식물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외래종 유입은 지난 75년간 7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륙마다 혹은 나라마다 고유하게 유지되던 생태계 다양성이 사라지고 전 세계가 비슷한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