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제학"(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순수과학이든 응용과학이든 진로의 폭이 매우 넓다”고 말했다. 그래서 보통 경영학이나 경제학을 복수전공하는 공대 내 다른 전공과 달리, 자연과학을 복수전공하는 학생들도 많다. 김 씨는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기 때문에 복수전공을 하고 싶은 친구들이 있다면 재료공학부를 추천한다”고 ... ...
- 빛으로 세균을 잡는다고?! 노벨상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10월 1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2일 물리학상, 3일 화학상에 이어, 5일 평화상, 8일 경제학상까지노벨상 부문별 수상자 발표가 막을 내렸지요. 올해 노벨상의 관전 포인트부터 노벨 과학상을 받은 연구 업적까지 자세히 소개한다. Intro. 빛으로 세균을 만근다고? 노벨상 2018Part1. 노벨생리의학상, 암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시상이 이뤄졌어요. 무엇을 상상하든 그보다 훨씬 황당할 테니, 기대해도 좋아요. [경제학상] 상사가 스트레스를 줄 땐, 저주인형을 푹푹! 찔러 보세요.캐나다 윌프리드 로리어 대학교 연구팀은 195명을 대상으로 회사 상사와의 안 좋았던 경험을 떠올리게 했어요. 그리고 한 집단은 가만히 있게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학의 매력이란? 수학은 가장 오해의 소지가 없는 언어이자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경제학은 권위에 의지하는 면이 조금 있는데 수학은 권위나 지위와는 아무 상관 없이 정답은 정답이고 오답은 오답일 뿐이죠. 그런 점에서 수학은 여러 학문 중에서도 순수함이 가장 어울리는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라고 말했다. 이 씨는 “산업공학은 컴퓨 터공학, 최적화, 인간공학, 심리학, 경영학, 경제학 등 수많은 학문과 연결될 수 있다”며 “어떤 학문과도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 끌려 산업공학과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 씨는 수능을 두 번 치른 재수생이다. 그는 “재수할때 첫 수능에서 점수가 잘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현장을 운영하고 국제시장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경영학과 경제학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에너지자원공학 분야는 천연 자원이 풍부한 나라들이 연구에서도 앞선 경우가 많지만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들을 많이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선택을 바꾸지 않는 균형 상태가 일어난다는 ‘내시 균형’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노벨 경제학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다스카라키스 교수는 이 내시 균형이 일어나기까지 얼마나 많은 상황이 펼쳐지는지 복잡성을 계산했고, 그 다음 상황의 수학적 구조와 계산의 복잡성을 밝혀 네반린나상을 ... ...
- [수학 잡지 독자가 만든 문제] 삼각형으로 정사각형 쪼개기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됩니다. 여기 실린 연구로 미국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로이드 섀플리 교수는 201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으니까요.제가 이 잡지들을 즐겨본 이유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 세 잡지에는 모두 수학 문제 코너가 있습니다. 독자들이 보내온 수학 문제를 선별해 싣는 코너입니다. 문제가 실린 뒤에는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럼 HI-SEAS에서도 경제학을 연구하시나요?평소 통계학으로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계량경제학’을 연구하고 있는데, 일종의 통계 모델을 개발하는 분야예요. 맨 처음 지원서를 쓸 때 HI-SEAS 프로젝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계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제안했답니다. 지금까지 다섯 번의 프로젝트가 ...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힘들다. 결국 1인당 수확량은 6가마에도 미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런 현상을 경제학에서 수확체감이라고 부른다. 결국, 토지가 한정돼 있는 전통적인 농업사회에서 인구 증가는 축복이 될 수 없었다. 역대 왕조가 약 100여 년의 전성기를 누린 뒤 농민 반란이나 외세의 침입으로 난세가 이어지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