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등쌀에 못 이겨 자신이 원하는 요리를 하지 못하면서 열정과 창의성을 잃어갔지요.
결국
레스토랑에서 해고된 캐스퍼는 푸드트럭에서 요리를 시작했고, 캐스퍼의 아들이 SNS로 아빠의 푸드트럭을 홍보하면서 다시 유명해져요. 그리고 미디어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며 ...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수상스키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어느 해 겨울, 스키를 타고 눈 덮인 언덕을 내려오던 중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랄프는
결국
집 근처 미네소타주에 있는 페핀 호수에서 스키를 타 보기로 결심했죠. 그는 눈 위와는 다른 물 위의 환경에서 어떻게 스키를 탈 수 있을지 고민했어요. 물 위에서는 땅을 짚고 나아가게 해주는 도구인 ... ...
[JOB터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PIXAR 애니메이션 이채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속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어요. 기술력이 높아지면서 요구하는 애니메이션 품질도 높아져
결국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똑같이 오래 걸리거든요. 한 작품을 만드는 데는 보통 3~4년의 작업 시간이 필요하고, 스토리 구상까지 따지면 더 길어집니다. 은 7년이 걸렸지요. Q캐릭터를 더 ... ...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우리 주변의 식물과 먹이사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우리가 가야 할 길은
결국
곤충들과 공존하는 방향일 것”이라고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물리학을 포기하고 싶었던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말했어요. 돌고 돌아왔지만
결국
자신에게 꼭 맞는 길을 찾은 겁니다. _ 인터뷰젊은 물리학자가 기억하는 위튼 교수서선옥 KAIST 물리학과 교수 교수님은 옳은 것을 하려는 정의감이 강하시고, 후학을 지원하는 데에도 후하신 분이세요.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이후 시뮬레이션 연구가 아닌 실험 연구가 진행될수록 부정적인 검증 결과가 나왔고,
결국
국내외 학계는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다’는 결론에 합의했다. ⑤ 핵융합 점화로 순에너지 생성 성공2022년 12월 인류는 최초로 핵융합 ‘순에너지’를 생산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리버모어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소변과 같은 산성 용액에 노출됐을 때 그 저항력이 머리카락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음모는 주변의 극한(?) 환경에 견디기 위해 더 두껍고 강해졌다는 것이 신 교수의 주장이다.거창한 목표보다 순수한 호기심 음모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호기심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정상적으로 안착했다. 그러나 달 착륙 직전 고도계 센서 오류로 그대로 달 표면에 추락해
결국
착륙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국제우주대회에서 만난 아이스페이스 연구진들은 이러한 첫 번째 미션의 실패로 얻은 수많은 데이터로 그 다음 미션을 준비하고 있었다. 다음 미션은 첫 미션보다 더 큰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잃었다고 좌절하기만 했다면 아무런 발전이 없었겠지만,
결국
외양간을 고쳤잖아요?
결국
실패는 정면으로 마주해 자양분으로 만든다면 그걸로 오케이란 겁니다. 안혜정 KAIST 실패연구소 연구교수에게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됩니다. 그러면 빛이 크게 휘면서 관측 대상을 지나쳐 뒤에 있는 사물에 부딪히고, 그럼
결국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은 관측 대상 뒤에 있는 사물에서 반사된 빛이기 때문에 관측 대상은 말 그대로 안 보이게 됩니다. 순식간에 위치가 바뀐다? 양자면 가능이번 영화에서는 세 주인공이 능력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