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시판"(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한 익명의 유저가 이 n!+(n-1)! 보다 더 큰 하한 n!+(n-1)!+(n-2)!+n-3을 찾아 증명했다는 걸 게시판 질문의 댓글에서 발견합니다. 하한은 초순열 길이의 최솟값을 뜻하므로 값이 클수록 초순열의 실제 길이에 가깝습니다. 허스턴은 이 내용을 잘 정리해서 각종 수열을 사전처럼 찾기 쉽게 정리해 놓은 ... ...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합니다. 강의 내용과 코딩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홈페이지에 올리면 학생들이 게시판에서 열심히 토론해서 문제를 해결하죠. 답을 찾은 사람, 아이디어를 제시한 사람 모두에게 토론 참여 점수를 줍니다.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참여한 내용을 정리해 제출하면 성적에 반영하죠. 낯선 교육 ... ...
- [시사과학 뉴스] 동물원 퓨마 호롱이는 왜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지난 9월 18일, 대전 오월드에 살고 있던 퓨마 ‘호롱이’가 우리를 탈출한 뒤 사살되는 사건이 일어났어요. 당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인기 검색어 1~3위를 ... 있죠.동물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홈페이지 ‘시끌벅적 토론터’ 게시판에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 ...
- 난민 신청자가 급증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들어왔어요. 이 소식에 난민*을 보호하는 난민법을 폐지하자는 국민청원이 청와대 게시판에 올라와 역대 가장 많은 수인 71만여 명이 동의했지요.(*난민: 전쟁과 종교, 인종, 정치적인 의견을 이유로 출신국에서 박해받을 우려가 있어 국제적인 보호가 필요한 사람) 8월 1일, 청와대는 난민법은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산업공학과는 스튜디오 에서 촬영한 학생들의 프로필 사진을 이름과 함께 학과 게시판에 붙인다. 그래서 산업공학과 교수들은 학과 학생들의 이름을 전부 외우고 있고, 학생들도 서로 잘 안다. 홍 교수는 “사회에 나가면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며 “결국 서로가 서로를 아는 것이 재산이기 때문에 ...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어디 한번 살펴볼까요? 달라진 수학교육❶문과? 이과? 공통 과목으로 통일! 인터넷 게시판을 보면 지나치게 이성적이고 계산에 능숙한 이공계 학생을 ‘이과충’이라고 부르고, 수학이나 과학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라는 농담을 합니다. 그런데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락을 주고받을 때에는 전화나 실시간 채팅은 금지시켰고, e메일과 인터넷 사이트 게시판만 이용하게 했다. 또 모든 메시지는 실제로 지구~화성 간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인 20분만큼 지연시켰다. 유인 화성 탐사에서는 우주인의 심리적, 정서적인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현재 탐사선 기술로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동안 초조해서 견딜 수가 없었다. 발표 예정 시각 10분 전부터 하림은 방 안에서 혼자 게시판을 새로고침하고 있었다. ‘입상을 못 했으면 어떡하지? 모든 게 끝장인 건가?’ 화학선생님은 하림이 입상하지 못했을 때 벌어질 일에 대해 아무 얘기도 해준 게 없었다. 어쩌면 결과와 상관없이 계획이 ... ...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443조 2항에 따라 삭제해 준다. 그러나 모든 사이트가 가능한 건 아니다. 다른 게시판에 써 놓은 글을 그대로 복제해 놓는 ‘세이브일베’와 같은 미러링 사이트는 삭제요청을 잘 받아주지 않는다. 간혹 요청을 들어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우리나라에서만 보이지 않게 차단한다. 김 대표는 “특히 ... ...
- 밸런타인 데이의 로맨틱한 수학적 고백법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얻기 위해 이과생 형들의 고백법을 검색해 봤다.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서울대학교 익명게시판 대나무숲에 올라온 게시글이었다. 함수를 활용해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다. 상대방이 x이고, 자신이 y=f(x)이면서 증가함수이고 싶다는 건 상대방에 맞춰 함께 사랑을 키워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