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인간과 유전체 93% 일치 붉은털원숭이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윤리적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등 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는 관점도 있는 반면, 다른 실험으로 대체하고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죠.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제 제안서를 제출합니다. 과제 제안서에는 삼엽충의 움직임 연구가 로봇 개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연구계획은 무엇이며 이때 드는 예산은 얼마정도인지가 정리돼 있습니다. 그러면 정부는 과제 제안서를 보고 예산을 지원할 팀을 선정합니다. 김공룡 박사의 과제 제안서가 운좋게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런 인식을 기반으로 많은 기업과 과학자가 질병의 치료 전략을 고안하고 신약을 개발합니다. 하지만 이런 신약이 모두 유효하진 않았고, 임상실험에서 예상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때도 있습니다. 모든 인간 세포의 역할과 활동이 전부 밝혀지진 않았고, 하나의 단백질이 둘 이상의 다른 과정에서 ... ...
- 1과 1을 모으면 1이 아닌가요? 에디슨의 엉뚱한 질문!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은? 바로 2이지요. 이 정도는 안다고요? 하지만 전구를 개발한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왜 답이 2인지 궁금했지요. 에디슨은 선생님에게 질문했어요. "찰흙 한 덩이와 다른 한 덩이를 모으면 다시 한 덩이가 돼요. 그럼 1+1은 1이 아닌가요?” 사실 에디슨의 말은 틀렸어요. 찰흙이 합쳐지며 ... ...
- 업사이클드푸드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식품 부산물에 맛을 더하면 업사이클드 식품이 완성됩니다.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 김민영 연구원은 지난해 3월 참깨와 들깨, 땅콩의 기름을 압착한 뒤 남은 유박을 그래놀라와 우유로 만드는 조리법을 공개했습니다. 김민영 연구원은 “유박은 참깨 등 기본 형태로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줄여야 한다는 내용이 명시된 합의문이 도출됐어요. 또 선진국이 기후 위기를 겪는 개발도상국에 금전적 보상을 하도록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이 공식 출범했지요. 이 자리에 바로 저를 포함해 6명의 선생님이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 교사들이 총회에 참가한 건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COP28에서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월트먼이 누구나 컴퓨터만 있으면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 ‘Prime95’, ‘MPrime’을 개발하면서 1996년 거대 소수 찾기가 전 세계 프로젝트로 커졌다. 이른바 GIMPS(Great Internet Mersenne Prime Search)! 2023년 6만 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는 메르센 소수 찾기 공동 프로젝트다. 원리를 간단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미국 수학자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따분한 강연을 듣고 있었다. 그는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한 수학자로,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는 과정을 수학을 이용해 연구했다. 이날 울람은 잠을 쫓기 위해 격자 칸에 수를 적기 시작했다. 가운데 칸을 기준으로 반시계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리베스트, 샤미르, 아델만이 RSA 암호를 개발한 공로로 2002년 컴퓨터과학의 최고 상인 ‘튜링상’을 수상해 그들의 이름이 역사에 길이 남게 됐다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거라는 AI가 로봇까지 바꿉니다). 테슬라를 비롯한 세계 연구팀들이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AI 로봇들은 그동안 연구했던 ‘지능형 로봇’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AI로 학습하고, AI로 생각해 움직인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KAIST에서 만든, 전 세계에서 100m 달리기가 가장 빠른 4족보행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