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계
총액
d라이브러리
"
총량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를 담는 그릇들
과학동아
l
199905
동안 생성됐다가 사라지는 정보의 양은 우리가 책이라는 형태로 물려받은 문화유산의
총량
보다 많을지도 모른다.인간이 다른 생명체와 달리 문명을 공유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은 바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동굴이나 무덤의 벽화에 저장하던 원시적인 정보 저장법의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03
먼지는 주로 봄철에 대기 상층의 편서풍을 타고 아시아로부터 운반된 것으로 그
총량
이 자그마치 2천만t에 달한다. 보통 북위 25-40도 지역이 황사의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황해를 포함한 동중국해가 황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수 천년이 넘는 기간 동안 해저에 퇴적된 광물입자들을 분석한 ... ...
4. 자연법칙에 반하는 공중부양, 반중력
과학동아
l
199811
特異運動)을 한다고 생각했다.츠비키는 은하를 이끌 정도로 강력한 중력을 가진 물질의
총량
을 계산했다. 그 결과 은하단 안의 은하 전체를 합한 값보다 1백배 이상 질량이 크다는 점을 알아냈다. 이를 ‘잃어버린 질량’(missing mass) 또는 암흑물질이라고 부른다.암흑물질의 실체는 무엇일까. ... ...
건강 파수꾼 침
과학동아
l
199809
점액 성분이 많은 침이 만들어진다. 이들 큰 침샘과 작은 침샘에서 하루에 분비되는 침의
총량
은 1L에서 1.5L에 이른다.침은 평상시에도 분당 0.5mL 정도씩 계속 분비된다. 안정한 상태에서 분비되는 침은 pH가 6.0정도의 약산성을 띠고 있으며 점도도 낮다. 그러나 외부에서 자극이 가해지면 분비량은 ... ...
Ⅴ 온실효과 탈출 마지막 비상구
과학동아
l
199808
때의 탄소 양은 이산화탄소에 포함된 탄소뿐 아니라 메탄, 탄산칼슘 등에 포함된 탄소의
총량
이다. 따라서 해양으로 이산화탄소를 저장, 폐기하는 것은 매우 타당하다고 보인다. 특히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수화물에서 방출돼 해수표면으로 이동되는데는 약 1천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또 방출되는 ... ...
Ⅲ 탄소형제들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808
사실은 그렇지 않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지구 전체가 가진 탄소의
총량
에 비하면 미미하다.지구에 존재하는 탄소의 대부분은 탄산칼슘(CaCO3)의 형태로 석회석에 들어 있다. 또 상당히 많은 양이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형태로 저장돼 있다. 흥미로운 것은 공기 중의 ... ...
1. 과학이 제시한 16강 비책 5
과학동아
l
199806
선수의 경기력을 산술적으로 합한 값이 아니고, 선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경기력의
총량
이 어떻게 나타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하나의 변수는 축구에는 상대 팀이 있다는 사실이다. 선수간에도 천적관계제일 잘하는 선수 11명이 항상 베스트 11이 아닌 이유가 여기에 있다. 팀내 ... ...
금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02
희귀성에 기인한다. 세계 금 평의회(WGC)에 따르면 지난 6천년 동안 채굴된 금의
총량
은 대략 12만5천t에 불과하다. 19m의 정육면체로 만들어 쌓는다면 에펠탑 높이(3백17m)에도 이르지 못하는 양이다. 골드 러시 이후 전세계 금 홍수여러 모로 금은 돈으로 사용하기 안성마춤이다. 자연적인 희소성으로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12
생태계의 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이나 질소 같은 물질의
총량
은 30억년 전부터 일정하게 유지돼왔다고 한다. 이들은 계속 형태를 바꾸며 순환하지만 사라지거나 새로 생겨나지 않는다. 그러나 에너지의 경우는 다르다. 에너지는 재활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잠시라도 ... ...
노벨화학상/보이어·워커·스코
과학동아
l
199711
지질이 ATP 합성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될 때 만들어진다. 하루에 성인이 만드는 ATP의
총량
은 체중의 반, 심한 노동을 하는 사람의 경우 1t 정도의 양이 필요하다.1929년 독일 화학자 칼 로우만이 처음으로 발견한 ATP는 1957년 영국 노벨상 수상자인 토드에 의해 최초로 화학적으로 합성됐다. 이 물질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