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첩경
경로
사잇길
d라이브러리
"
지름길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7
좀조개도 살 수 없어서 배가 잘 살아남아.▶ 장애물이 많은 곳험난한 뱃길이라도
지름길
이면 위험을 무릅쓰고 항해를 했기 때문에 많은 난파선이 생길 수밖에 없었지. 서해나 남해처럼 섬과 암초 등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 난파선도 많아. 그 유명한 호화 유람선 타이타닉은 빙산에 부딪쳤단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우장춘 박사는‘씨 없는 수박’을 한국에서 처음 선보여 유명해지기도 했다.미래 속으로
지름길
알려 주는 홀로그램요즘 자가용에는 차량항법장치가 많이 달려 있다. 자신이 있는 곳과 가야할 곳의 위치만 적으면 자동으로 가는 길을 알려 준다. 차량항법장치는‘차량 내비게이션’또는‘자동차 길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11
보내 실험을 하는 일은 관련 인프라가 적은 나라가 우주개발 선진국에 진입하는
지름길
”이라며 “2008년 고산 씨가 18가지 과학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오면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대한 국제적 위상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셰이크 무스자파 e메일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09
가 발사한 행성 탐사기 보이저 2호는 1977년 8월 20일에, 1호는 9월 5일에 발사되었다1호는
지름길
을 취하여 동년 7월에 목성에 접근했는데, 목성의 클로즈업 사진과 자기장이나 입자의 정보를 보내 왔다또 목성의 줄무늬라든가 갈릴레이 위성의 하나하나를 찍은 사진도 보내왔다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 ...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영재들은 어떻게 공부할까요? 한시도 책상에서 떨어지지 않고 열심히 책만 볼까요? 아닙니다. 영재들은 신나게 놀면서도 공부를 한답니다. 놀이야말로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니까요. 못 믿겠다고요? 실제로 과학체험놀이를 통해 영재성을 키우고 있는 친구들을 보고 나면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02
가 발사한 행성 탐사기 보이저 2호는 1977년 8월 20일에, 1호는 9월 5일에 발사되었다1호는
지름길
을 취하여 동년 7월에 목성에 접근했는데, 목성의 클로즈업 사진과 자기장이나 입자의 정보를 보내 왔다또 목성의 줄무늬라든가 갈릴레이 위성의 하나하나를 찍은 사진도 보내왔다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 ...
나는 시금치가 너무 좋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있는 간단한 실천 목록● 음식의 간을 맞춘다고 소금이나 간장을 넣는 것은 더 짜게 먹는
지름길
. 식탁에서 소금통이나 간장병을 치워 주세요.● 김치나 젓갈, 장아찌가 맛있긴 하지만 너무 많이 먹진 말아요.● 햄이나 베이컨, 치즈 같은 소금덩어리 가공식품과 라면, 피자 같은 인스턴트 식품은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준호가 힘없이 머리를 저었다.“해보지도 않고 무슨 소리야?”윗산 마을로 가는
지름길
은 좁고 가팔라서 솔라 바이크를 타는 게 무척 어려웠다. 산길을 지날 때는 바이크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했다. 준호 다리에서 나는 소음이 점점 크게 들렸다. 안타까움에 심장이 저려왔지만 아무말도 꺼내지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모양이고 색깔은 어떤지, 냄새는 심하지 않은지 살펴보았다. 똥을 잘 누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
임을 알았다면 이제부터 최고급 똥을 누기 위해 조금만 더 노력하자. 변기의 물을 내리면서 얼굴에는 행복한 미소가 떠오르고 몸은 날아갈 듯 가벼워지는 그 순간을 위해~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09
타고 여행할 때 90억년이 걸리는 경로다. 물론 웜홀이 지구 근처에 숨어있다면 웜홀이란
지름길
을 이용해 수년 내에 안드로메다은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90억년이 걸리는 거리를 단 수년 내에 이동했으니 마치 ‘초광속 여행’처럼 보인다.웜홀을 통한 ‘초광속 여행’이라는 개념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