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장애물
벽
방해물
담장
담
장애
d라이브러리
"
장벽
"(으)로 총 347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
수학동아
l
201305
그들을 내려 줬다. 그런데 병원이 거대한
장벽
에 둘러싸여 들어갈 수가 없었다. 그때
장벽
안에서 큰 스피커 음성이 들려왔다.“병에 감염되면 수학적 능력이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졌소. 그러다가 서서히 잠에 빠져들어 결국 아무 동작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지. 이 병은 매우 전염성이 높아서 병에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
수학동아
l
201304
물거품을 일으킨다. 돌고래가 좋아하는 먹이인 정어리떼에게 흰색 물거품은 거대한
장벽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돌고래들은 거품 벽에 갇힌 정어리 떼를 손쉽게 잡아먹을 수 있다.여기서 드는 궁금증 하나! 물거품이 생기면 돌고래들도 정어리 떼를 분별할 수 없게 되는데, 어떻게 놓치지 않고 사냥에 ... ...
돼지 기생충이 병을 치료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8
별다른 이상을 일으키지 않고 2주 이내에 대장에서 파괴된답니다. 물론 대장에서
장벽
을 뚫고 다른 장기로 침입할 수도 없죠. 사람몸속에 들어간 돼지편충은 알에서 깨어난 뒤 몇 주 가량 머물다가 바깥으로 배설돼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우리를 이용해 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해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11
뇌에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뇌와 혈액 사이에 있는 혈뇌
장벽
이 아무 물질이나 마음대로 뇌로 들어가지 못하게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미 1970년대 기니피그와 쥐를 갖고 알아본 실험 결과 혈중 글루타민산 농도가 20배 가까이 올라가야 뇌 속의 농도가 의미 있게 변했다.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10
짧은 거리에서 운용하면 철조망이 없어도 번개(전기)가 흐르는 전기철조망이나 전기
장벽
을 만들 수 있다. 이런 번개에 맞은 사람은 레이저 광선으로 인한 열 충격과 감전으로 인한 전기 충격으로 힘을 쓰지 못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미국은 이 기술을 응용해 중요 시설물의 보안장치로 활용하고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
과학동아
l
201210
항상 의대로 몰렸다.이렇게 의대에 우수인재가 모이는 것은 다른 직업과 달리 높은 진입
장벽
, 직업인으로서 진정한 봉사를 할 수 있다는 것, 사회적 존경, 높은 직업 안정성 이외에 다른 직업과 비교해 평균연봉이 두 배 가까이 높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그러나 의사도 직업이다. 적성에 맞아야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05
평탄한 지반인 북서태평양 지역에 100가구가 사는 해저도시를 짓는다면 가장 먼저 만나는
장벽
은 수압이다. 바다에서는 수심 10m마다 1기압이 증가한다. 해수면의 기압이 1기압이므로 100m 수심이면 11기압이다. 1기압은 단위면적 1㎡당 10t의 무게로 가하는 압력이다. 11기압은 1m2당 110t의 무게로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05
달려 있는 당분자다. 따라서 당분자만 잘라먹고 나머지는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데 이게
장벽
을 통해 흡수돼 약효를 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장내미생물이 없는 경우는 독이 될 정도로 많은 양을 섭취해도 별 문제가 없지 않을까.“그렇습니다. 무균동물에 행인의 성분인 아미그달린을 치사량에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05
장애물이 있다. 다른 종과의 교배를 막는 ‘접합 전
장벽
’이다. 육종가들은 이 접합 전
장벽
을 넘기 위해 몇 가지 편법을 사용한다(153쪽 박스기사 참고).단 20여 종의 야생장미에서 출발해 2만 5000여 품종을 만들 만큼 교배육종의 힘은 요술봉처럼 강력하지만 여러 한계점이 있다.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05
그렇다면 뇌는 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어떻게 알았을까. 메신저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장벽
에 있는 장크롬친화성세포(ECC)다. 보통 세포는 기관의 안이나 밖, 둘 중 한 방향으로만 신호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ECC는 장의 안과 밖,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능력이 있다. 장내에서 일어나는 일을 장 바깥쪽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