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헌
도움
봉사
공급
기여
d라이브러리
"
이바지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01
공급시스템이 개발된다(2003).2. 하천 호수 등의 수질 정화기술이 실용화돼 환경 개선에
이바지
함과 동시에 물의 효율적 이용이 촉진된다(2002).3. 홍수시 비점원 오염물질의 유출로 인한 상수원수 수질 악화현상의 모니터링 및 방지기술이 개발된다(2003).4. 지오토모그라피 등 물리탐사기술의 진보에 ... ...
금성소프트에어, 윈워드 2.0 CD-ROM으로 제작
과학동아
l
199411
윈워드의 개발을 중소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와 기술 연계를 통해 국내 정보산업의 발달에
이바지
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내용을 실천에 옮긴 것이어서 주목된다.윈워드 2.0은 단축키 설정이나 마우스 조작면에서 1.0에 비해 사용자 편리성이 두드러지며 화면 출력속도 면에서도 많이 개선된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세계에서 가장 큰 천문학 연구의 스폰서다. 그러나 이 혜택은 과학의 발전에 그다지
이바지
하지 못하면서 연구비용만의 증가 경향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1980년대 NASA는 문제 투성이에 발사 지연마저 잦은 우주왕복선을 통해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도록 주도해 왔다. 이제는 많은 ... ...
PART.1 컴덱스쇼로 예측하는 '94 신기술 새경향
과학동아
l
199401
이들은 "억압된 성의 욕구를 새로운 미디어를 통해 해소함으로써 사회적 생산성향상에
이바지
한다"는 거창한(?) 주장을 펼쳤다. 어쨌든 멀티미디어의 대중화과정에서 도색물은 필요악일 수도 있다는 시각이 이 곳의 대체적인 분위기였다. 이밖에도 PC를 통한 화상회의시스템이 다수 선보였으며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09
매우 큽니다."-이번 초전도체 연구가 결실을 맺게 되면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것이라고 강조하셨는데···"과학기술 발전뿐 이겠습니까. 경제적으로 크게 성공할 것입니다. 초전도체의 응용은 에너지 분야를 비롯 통신 컴퓨터 의료 교통 등 안쓰이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05
속씨식물과 함께 공동진화해 온 것이 많다. 공동진화는 생식방법의 특이성에 크게
이바지
했다. 한 예로서 사막식물인 유카(Yucca)는 가루받이를 위해 특정한 곤충인 유카나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유카나방은 유카에 의존해 산다. 유카나방은 유카에 알을 낳고 그 애벌레는 유카의 종자를 먹고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12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생물공학(biotechnology)이다. 그중에서 특별히 환경보전에
이바지
하고자 하는 것이 환경생물공학(environmental biotechnology)이다. 생물공학기술은 21세기를 주도할 기술이다. 그중에서 환경생물공학은 우리가 살고있는 단 하나뿐인 지구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현재와 미래의 ... ...
좋은 소음, 나쁜소음
과학동아
l
199206
바와 같이 정말 효과적이라면 우리 모두의 돈을 아끼고 또한 소음공해를 줄이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다시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소음'이란 정의하기에 달려있다. 아프리카를 여행하는 사람에겐 코끼리가 시끄럽게 생각될는지 모른다. 코끼리는 나팔소리를 내고 비명을 지르고 배에선 계속 우렁우렁 ... ...
티벳
과학동아
l
199204
있을 정도다. 뿐만 아니라 지열채소의 생산도 활발한데 이는 주민생활의 향상에 크게
이바지
하고 있다.칭장고원은 위도상으론 중위도에 속하나 지역의 평균고도가 4천5백m에 이르기 때문에 기온의 수직적 체감률이 높다. 쾨펜(Köppen)의 기후구분상으로는 툰드라기후 (ET), 즉 한지사막(寒地沙漠)으로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03
된 김기순 박사는 광섬유 개발에 참여하여 이 연구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크게
이바지
하였다. 불행히도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지만 김박사는 내게 좀처럼 잊지 못할 인상을 남겼다. 그는 병상에 있으면서도 전화로 조수들의 연구지도를 하는 등 자신의 책무를 잊지 않았다. 그는 참으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