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07
- 그럼 내가 알 수 있을 거야.그럼 꼭 다시 건강하게 만나자.엄마가."그리고 편지 맨 아래에는 0과 1로 된 숫자가 쓰여 있었다.01001100/10100101/00110010/10010100/110‘이게 뭐지? 전화번호도 아니고….’그러고 보니 엄마가 여태까지 하림에게 편지를 보낸 방법이 궁금했다. 저번에는 인희가 그랬을 거라고 ... ...
- [Infographic] 체조부터 발레까지… 춤은 ‘관절’이 춘다과학동아 l201707
- 두 개의 긴뼈인 정강뼈와 종아리뼈가 결합하는 관절이나, 발에 있는 일부 관절들이 있다. 아래턱뼈와 좌우 관자뼈 사이에 있는 턱관절은 내부에 연골판이 포함돼 있어서 음식을 씹고 갈 때 턱이 양옆으로 움직이고 앞뒤로 나왔다 들어갔다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가장 작은 관절은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07
- 백신접종반대 운동이 시작됐다. 영국의 MMR 백신 접종률은 급격하게 낮아졌으며(아래 그래프), 이로 인해 홍역 감염자는 늘어났다.하지만 그의 사기는 곧 들통났다. 2004년 영국 선데이타임스의 브라이언 디어 기자가 탐사보도를 통해 웨이크필드 박사가 MMR 백신 제조사를 상대로 법적 소송을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07
- R)는 0.8이 된다(R=4-(0.8×4)=0.8). R이 1보다 작으면 질병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아래 그림). 이런 원리를 이용해 기본감염재생산수(RO)로 질병의 전파를 막는 백신 접종률(V)을 구할 수 있다.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그렇다면 백신을 얼마나 맞아야 질병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보자. 처음에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않고 물고기를 사냥해 먹으며 살았지요.수코미무스는 다른 육식공룡과 달리 길고 좁은 아래턱을 갖고 있어요. 그래서 물 속을 헤엄치고 먹잇감을 날쌔게 잡아채는 데 매우 적합하지요.입 안 가득 채워져 있는 122개의 원추형 이빨은 뾰족하면서도 뒤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어서 물고기를 물었을 때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07
- 등으로 대표되는 발달장애다. 아직 학부생인 미국 뉴욕주립대 컴퓨터공학과 조근우 씨(아래)가 개발했다. 자폐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사진을 볼 때 일반 사람과는 달리 시선이 분산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조 씨는 이를 이용해 자폐를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2~10세의 어린이 32명(16명이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07
- 같은 포장용 판지에서보다 햄버거 포장지와 같은 접촉식 포장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아래 그래프).연구팀은 플루오린이 다량 검출된 샘플 가운데 20개를 추려 대표적인 과불화화합물인 퍼플루오르알킬설포네이트(PFAS) 등이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 평가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기를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할지도 모른다.”둘은 간곡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아기를 들고 걸어 다니며 아기를 위 아래로 움직였다. 그리고 정말로 잠이 드는지 아기의 움직임은 완전히 없어지는 듯 했다.그런데 돌연 갑자기 다시 아기가 눈꺼풀을 찡그러뜨리고 입을 씰룩이기 시작했다.“아, 안 돼!”“황제 폐하, 황제 폐하,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많은 양의 빛을 방출한다는 것도 알아냈어요. 그래서 물방울무늬 청개구리는 보름달 아래에서 18%, 해가 지고 어스름할 때 30%나 더 밝게 보였지요.연구를 이끈 훌리안 파이보비치 연구원은 “동물이 형광을 내는 이유는 의사소통이나 위장 때문라고 추정한다”며, “앞으로 개구리가 형광을 내는 ...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과학동아 l201707
- 따르면, 양은 고통을 느낄 때 눈이 가늘어지고 뺨을 당기며, 귀는 앞으로 접고 입술은 아래로 늘어뜨린다. 또, 콧구멍 모양이 U자에서 V자로 바뀐다. 이런 변화의 정도를 1~10점으로 점수를 매긴 뒤 합산하면, 역으로 양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척도를 사용할 수 있게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