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도"(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과학동아 l200102
- 누워 있는 마르탱의 위에서 채취한 위액을 조사했다. 그 결과 그때까지의 위액, 즉 식도를 역류해 올라오는 위액과는 성분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소화시켜야 할 음식물이 위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산성의 위액이 분비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한편 음식물이 소화되는 순서를 ...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과학동아 l200010
- 사이의 관계가 주어져 있을 때 함수를 구하는 문제가 바로 미분방정식이다. 뉴턴방정식도 시간이 독립변수이고 위치가 종속변수인 함수에 대한 미분방정식이다. 쿠랑과 힐버트는 당시까지 알려져 있던 모든 미분방정식을 분류하기 위해, 스뛰름-류비유(Sturm-Liouville) 이론을 써서, 방정식에 포함돼 ...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과학동아 l200001
- 분자의 모형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을 뿐 아니라, H2O(물), C6H12O6(포도당)처럼 확실한 분자식도 쓸 수 없다. 그러고 보면 세상의 모든 물질이 원자, 분자의 차원에서 뚜렷한 구조를 지닌다는 사실이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다. 그런데 모든 물질이 이처럼 특이한 구조를 유지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과학동아 l199912
- 대변에 피가 묻어있는 상태를 잘 관찰하면 출혈 부위를 짐작할 수 있다. 비교적 식도나 위와 같은 소화관 위쪽 부위의 장출혈은 피가 대변과 충분히 섞이기 때문에 대변이 전체적으로 암적색을 띤다. 반면 아래쪽 부위(직장, 항문)의 출혈일 경우는 대변의 겉에 빨간색의 피가 묻어나온다. 양과 ...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과학동아 l199908
- 목욕을 하면 물이 피부 분자들의 열에너지를 빼앗듯이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식도와 위를 지나면서 내장기관의 열에너지를 빼앗기 때문이다. 우리가 시원하다고 느끼는 이유다.그래서인지 아이스크림뿐 아니라 찬음식을 많이 먹으면 배탈난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김영호(삼성서울병원 ... ...
- 산과 염기과학동아 l199901
- 돼 있는 미생물을 녹여 버리기 때문에 제거되는 것이다.(그림4)하지만 위산을 얻기 위해 식도를 녹여 버릴 수도 있는 염산을 마실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위산은 소고기나 김치에 많이 들어있는 소금(NaCl)에서 나온 염소이온(C${l}^{-}$)과 혈액 속에서 생기는 수소 이온(${H}^{+}$)이 위벽에서 함께 ... ...
- Ⅱ 병 주는 곰팡이: 식품 오염시키는 독소분비과학동아 l199803
- 일으킨다. 사람도 예외가 아니다. 남아프리카 남서지역과 중국 하남성 일부 지역에서는 식도암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곳의 옥수수에서 후모니신 오염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이 밝혀졌다. 급성 아니라고 안심 못해후사리움 곰팡이의 일부는 트리코세신이라는 독소를 분비해 설사, ... ...
- 만병의 근원 감기과학동아 l199712
- 콧물이 나오고 코가 막힌다.■인두가 감염됐을 때흔히 목감기라고 한다. 인두(입과 식도 사이)의 점막이 빨갛게 건조해진다. 목이 칼칼해지고 기침이 나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음식을 삼킬 때 아프고 가벼운 열이 나며 때로 콧물이 흐르기도 한다.■후두가 감염됐을 때후두는 기관의 앞에 있다. ... ...
- 소화기관은 안일까 밖일까과학동아 l199710
- 우리 몸을 바꾸어보자. 치아나 혀는 집어넣고 꾸불꾸불한 위와 장을 똑바로 펴자. 식도에서 대장까지 같은 굵기로 맞추고, 길이도 줄여 입에서 항문까지를 직선으로 만들어보자. 그렇게 하면 입에서 엉덩이의 구멍까지 직선의 터널이 생긴다. 밤에 엉덩이쪽에서 들여다보면 입을 통해 별님이 보일지 ... ...
-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과학동아 l199701
- 의심한다. 하지만 심장을 검사하면 정상 판정이 나온다.현재 이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은 식도와 위의 연결 부위에 염산을 떨어뜨려 환자가 가슴의 통증을 느끼는지 판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환자의 느낌에 주로 의존하다보니 정확한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체열촬영의 경우 생리식염수와 염산을 ... ...
이전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