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자"(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03
- 발터 네른스트, 로버트 밀리컨, 막스 폰 라우에 등 현대물리학을 연 거장들(모두 노벨상 수상자다)이 원탁에 둘러앉아 얘기하는 사진 같은. 과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눈길이 가게 마련인데, 그들이 한자리에 모였다는 게 놀랍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그들이 어떤 영감 넘치는 이야기를 했을지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01
- 핵 속에서 더 작은 구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바로 쿼크다. 쿼크는 1969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머리 겔만이 1940년대 후반 발견되기 시작한 많은 핵입자(하드론)들을 분류하면서 새로 제안한 6개의 입자다. 인류는 197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원자의 구조와 핵 속에 작용하는 힘을 구체적으로 알게 된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21
- 없는 건 아니야. 번뜩이는 아이디어에 절로 호기심이 퐁퐁 솟아나는 건 기본!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진짜 노벨상을 받은 경우도 있다고!삶은 달걀을 날달걀로 바꿀 수 있다?삶은 달걀을 다시 날달걀로 바꿀 수 있을까요? 타임머신으로 시간을 돌려야만 가능할 것 같은 연구가 2015년 이그노벨상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12
-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4년 뒤, 컴퓨터공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튜링상의 수상자 예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는 “컴퓨터가 거대해진만큼 소프트웨어도 거대한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이들이 지적한 소프트웨어의 위기는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의 성장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어지면서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12
- 일할 때 만난 멘토가 리차드 콜로드너(현재 UC샌디에이고 교수)예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 중 하나인 ‘DNA 불일치 복구’가 대장암의 발병 원인이라는 것을 처음 밝힌 분이죠. 연구를 할 때 가설을 세우고,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 주셨어요. 후배 연구자들을 보면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11
- 입학하는 것이 목표다. 도쿄대는 일본의 수도, 도쿄에 있는 국립 종합대로 노벨상 수상자를 여럿 배출한 명문대학이다. 그만큼 입학하는 것도 하늘의 별 따기다.일본의 입시는 우리나라 입시와 유사하다. 일본에는 우리나라의 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센터시험이 있는데 매년 1월 13일 이후 첫 번째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11
- 식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므로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처음 개발한 약물을 발전시켜 더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를 완성했듯, 새로운 약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자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번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우리나라 천연물 연구에도 재능있는 젊은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11
- 있을까? 수학자들은 여럿이서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선두에 1998년 필즈상 수상자인 티머시 가워스 교수가 있다. 2009년말, 그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포함한 여러 수학 문제를 온라인에서 함께 풀자고 제안했다. 일명 ‘폴리매스(POLYMATH)’ 프로젝트다. 가워스 교수는 인터넷 사이트를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11
- 기생충과 말라리아 치료 연구에 한 평생을 바친 이들에게 돌아갔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자세히 들여다봤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 소식을 듣고, 필자는 e메일을 두 통 썼다. 약 30년간 연구를 함께 한 카지타 교수와, 역시 가까운 지인인 맥도날드 교수에게 보내는 축하의 메일이었다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결핍이나 변형이 다양한 질병과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도 수없이 발표되고 있다. 수상자들의 업적은 앞으로도 계속 관심을 받을 것이고, 향후 임상분야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PART 2. 화학상 DNA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