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로"(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틀에 박힌 장난감은 바이바이! 내 맘대로 발명하는 4D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모양을 만들지요. 연결봉은 원하는 길이만큼 가위로 자르거나, 두 개의 연결봉을 연결발로 이어 더 길게 만들 수 있어요. 부드럽게 휘어지는 연결봉을 이으면 둥근 곡선도 만들 수 있지요. 4D프레임을 제작한 박호걸 소장제가 어렸을 때에는 수수깡을 갖고 놀았어요. 수숫대 껍질을 벗겨 얻은 통통한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있고, 심지어 손에도 눈이 달려 있어요. 게다가 두 팔을 등 뒤로 돌려 바닥으로 내리면 네 발로 걸을 수도 있답니다.힘도 세진 저는 스스로 판단해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쓰러져도 다치지 않도록 지금도 진화하고 있어요. 2015년 6월에 미국에서 열리는 로봇틱스 챌린지에서 꼭 좋은 성적 ... ...
- 새의 조상은 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1417
- 밝혀냈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테타누라는 작은 앞발을 손처럼 사용하면서 거대한 뒷발로 걸어 다니는 무시무시한 육식공룡이었어요. 약 1억 8000만 년 전 몸무게가 46kg까지 줄어든 뒤, 약 1억 7000만 년 전쯤에는 몸집이 4kg로 줄어든 데다 나무와 나무 사이를 짧게 날아다닐 수 있었지요. 약 1억 5000만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12
- 필래는 충전을 못 해 20시간 만에 방전됐어요. 한 가지 기특한 건 필래가 절벽에 한 발로 대롱대롱 매달린 상태에서도 잽싸게 표면정보를 수집해 보내줬다는 거예요. 방전되기 직전에 말예요. 과학자들이 열심히 분석하는 중인데, 벌써 유기분자가 발견됐다고 해요. 생명의 기원인 아미노산도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10
- 벗어나 벌판 생활을 했다 는 가정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확인할 길은 아직 없다. 다만 두 발로 걷고 눈동자를 이리저리 돌리면서 동료나 가족과 소통을 하는 루시를 상상해보 면, 눈이 까만 눈동자로 꽉 찬 유인원과는 확연히 다른, '인간'의 느낌을 받 을 수 있다.얼굴이 작아진 호모 하빌리스와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10
- 있다.#2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는 사람과 같이 두 발로 걷거나 뛰고, 계단을 오르기도 한다. 그러나 휴보는 무릎을 굽힌 자세로 엉거주춤 걷는 것이 한계다.#3 어릴 때 소아마비를 앓았던 건강해 씨. 건강해 씨는 발목의 골격이 일부 뒤틀려 정상적인 보행이 ...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09
- 7월 21일부터 일주일간 열렸다.로보컵이 명성을 얻기 시작한 건 2002년 인간처럼 두 발로 공을 차는 휴머노이드 리그가 생긴 다음부터다. 휴머노이드 리그는 로봇 크기에 따라 세부 리그가 결정된다. 키 130~180cm로 성인 크기의 로봇은 ‘어덜트 사이즈 리그’, 80~140cm 로봇은 ‘틴에이지 사이즈 리그’,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선인장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08
- 크게 세 가지 모양으로 나눌 수 있어요.사람 키의 두세 배는 가볍게 넘는 긴 기둥 모양, 발로 뻥 차면 데굴데굴 굴러갈 것 같은 동그란 공 모양, 바람에 흔들리면 마치 인사하는 것처럼 보이는 넓적한 손바닥 모양이 있답니다. 또 종류가 매우 다양해 무려 3000종이 넘어요. 가시가 빽빽하게 돋아나 ... ...
- 침팬지도 똑똑한 건, 엄마 아빠 덕?과학동아 l201408
- 머리가 좋고 똑똑한 사람을 보면 “누굴 닮아 이렇게 똑똑하니?”라고 묻는다. 하지만 정작 사람의 지능에서 유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정도로 ... 역할이 약 절반으로 사람보다 높다. 혹시, 영화 ‘혹성탈출’의 시저도 그럴까? 가만, 두 발로 걷고 말도 타는데, 그거 사람이야, 침팬지야 ...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407
- 월드컵의 시작을 알리는 시축을 하반신 마비 환자 줄리아노 핀토가 뇌파를 이용해 로봇 발로 공을 찬 것이다. 이처럼 뇌를 기계에 연결해 조종하는 기술은 의료 산업은 물론 게임 산업까지 진출하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술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BCI 기술이란 무엇일까?지난 2010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