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
과학동아
l
201708
훨씬 뛰어난 소리를 낸다고 볼 수는 없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23일자에 실렸다(doi:10.1013/pnas.1619443114).높고 추운 산에서 자란 나무가 부활한 ‘숨 쉬는 악기’어떻게 수십 년간 최정상에 있던 명품 바이올린의 명성을 현대 바이올린이 무너뜨린 것일까. ... ...
[가상인터뷰]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사는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8
길게 이어진 등지느러미를 갖고 있답니다.물도 없는데 정말 육지에서 산다고?최근 호주
국립
대학교와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공동연구팀은 남태평양 쿡 제도의 한 섬에서 우리가 육지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발견했어요. 베도라치가 바닷물의 수위가 낮을 때 물속에 머물러 있다가, 바닷물이 ... ...
[과학뉴스] 로마 방파제가 2000년간 끄떡없는 비결
과학동아
l
201708
비결이 밝혀졌다.미국 유타대 지질학및지구물리학과 마리 잭슨 교수팀은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가 운영하는 방사광가속기 ‘ALS(Advanced Light Source)’를 이용해 2000년 된 고대 로마 방파제의 콘크리트 결정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콘크리트 혼합물 속의 석회(칼슘산화물)가 바닷물 속 화산재와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08
교수는 키보드에 남겨진 피부 미생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는 연구를 2010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doi:10.1073/pnas.1000162107). 연구팀은 피부에 상주하는 미생물이 개인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노트북 자판 위에 있는 피부 미생물을 통해 누가 그것을 만졌는지 확인할 수 있을 ... ...
[과학뉴스] 장수 정자가 건강한 자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08
공동연구팀은 수명이 긴 정자는 수정 성공률이 높고 자손의 생식력도 더 높다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7월 10일자에 밝혔다. 한 번의 사정에서 나온 정자의 생식력은 같다고 알려져 있던 기존 상식에 반하는 연구 결과다.연구팀은 물고기인 제브라피시(Danio rerio )의 정자 중 오래 사는 정자와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
과학동아
l
201708
그레코로만을 본 뜬 이른바 ‘콜로니얼 스타일’의 건물입니다. 1929년에 지어져 현재
국립
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이런 건물을 연구소로 쓰다니’ 놀라는 분도 있을 겁니다. 사실 FRI는 1878년 영국황실산림학교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06년에 영국에서 온 산림 장교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 ...
[식물 속 동물 찾기] 하늘 을 나 는 제비 를 닮은 제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8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4월 즈음, 땅에는 자그마한 보랏빛 제비가 돌아와요. 바로 제비꽃이지요. 꽃이 핀 모양이 마치 제비가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을 나는 모습을 닮았답니다. 이처럼 모양도 비슷하고, 제비가 돌아올 때쯤 꽃이 피기 때문에 ‘제비꽃’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됐지요.제비꽃은 ...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08
식물은 동물과 달리 주변에서 공격을 받아도 물리치거나 도망가지 못한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식물이 외부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 ... 교배해 곰팡이 저항력이 강한 품종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6월 26일자에 실렸다.doi:10.1073/pnas.170225911 ... ...
[Career] 나의 상상력이 인류의 미래를 좌우한다!
과학동아
l
201708
4회째를 맞은
국립
과천과학관의 ‘노벨상을 말하다’ 행사 시리즈가 펼쳐진다. 김선호
국립
과천과학관장 직무대행은 “노벨상의 의미와 기초과학 분야의 가치를 알아보자는 것이 행사의 취지”라며 “궁금한 것을 밝혀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순수한 학문적 동기를 인정하는 문화가 만들어지길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8
IHEC, International Human Epigenome Consortium)’이 만들어졌다.우리나라도 2012년부터 질병관리본부
국립
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가 이 과제에 참여해 한국인 주요 만성질환 조직 50종에 대한 후성유전체 정보를 연구하고 있다.조직 식별은 왜 중요한가법의학의 관점에서 조직에 특이적인 DNA 메틸화 패턴을 통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